본문으로 바로가기

[뉴스포커스] 정부, 코로나 유행 '정체→확대' 진단 변화

뉴스경제

[뉴스포커스] 정부, 코로나 유행 '정체→확대' 진단 변화

2021-03-29 10:52:12

[뉴스포커스] 정부, 코로나 유행 '정체→확대' 진단 변화

<출연 : 김윤 서울대 의료관리학과 교수·김수민 시사평론가>

어제 하루 발생한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수가 주말 검사 건수 감소로 하루 만에 300명대로 내려왔습니다.

하지만 방역당국은 코로나 유행을 정체에서 확대로 진단하며 4월부터 감염위험이 높아질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정부가 백신 접종 후 이상 반응을 호소하는 사람들을 위해 4월부터 '백신 휴가'를 도입하기로 결정했는데요.

관련 내용들, 김윤 서울대 의료관리학과 교수, 김수민 시사평론가와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오늘은 300대 후반을 기록했습니다. 300~400명대를 반복할지 아님 앞으로 계속 500명대가 발생될지, 현재 코로나19 상황,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1-1> 방역당국이 현재 상황을 '정체'라는 진단 대신 '상승, 확대'라는 말을 사용했는데요. 확실히 이동량이 늘면서 환자수도 계속 증가하고 있는 추센가요?

<질문 2> 방역당국은 다가오는 4월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높아질 것이라고 우려했는데요. 앞으로 우리가 어떤 점을 가장 조심해야 할까요?

<질문 2-1> 정부가 4월 말까지 봄철 나들이 특별방역 점검을 벌이기로 했는데요. 야외 활동을 할 때, 어떤 수칙들을 지켜야 하나요?

<질문 3> 작년에 한동안 방문판매 관련 집단감염이 유행을 했었는데요. 이번에도 또 방판업체 직원들의 집단감염이 나왔습니다. 강화도의 한 폐교에서 합숙을 했다고 하는데, 이렇게 등록되지 않은 부분들은 정부가 미리 파악하기 힘든 부분인데요. 이번 방판업체 집단감염 사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1> 그동안 방문판매업체의 집단감염을 보면 거짓 진술로 역학조사를 방해하는 사람들이 많았는데요. 이번에도 거짓진술로 애를 먹고 있다고 합니다. 폐교 건물에서 합숙을 한다는 것 자체가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이거든요? 명단 확보라든가, 방역에 협조가 잘 되고 있나요?

<질문 4> 대전에서는 코로나19에 확진된 감성주점 종업원이 횟집을 방문해 이곳을 방문한 손님 1천 여 명에 대한 검사가 진행 중이라고 합니다. 횟집도 그렇고, 감성주점도 그렇고 주로 20~30대 손님들이 대부분이고, 마스크를 벗고 대화를 많이 나누는 곳이다 보니 앞으로 추가 확산도 많을 것 같거든요?

<질문 4-1> 현재 비수도권은 1.5단계로 방역수칙만 잘 지킨다면 영업시간 제한이 없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대전 사례처럼 다중이용시설을 중심으로 집단감염이 계속 발생한다면 다시 제한을 둬야 하지 않을까 싶은데,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4-2> 보통 다중이용시설을 방문하면 출입명부 작성할 때 외 O명이라고 기재를 하는데, 오늘부터는 이렇게 하면 안 된다면서요? 오늘부터 추가된 기본방역수칙에 대해 자세히 좀 말씀해 주시죠.

<질문 5> 이번엔 변이 바이러스와 관련된 이야기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질병관리청이 변이 바이러스 환자의 특징을 조사해 봤더니 3분의 1 이상이 무증상자였다고 합니다. 앞으로 변이 바이러스 확진자가 많아질 거라고 했는데, 기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비해 무증상 확진자가 더 많아지는 건가요?

<질문 5-1> 영국발, 남아공발, 브라질발 변이 바이러스를 주요 변이 바이러스로 꼽고 있는데요. 현재 국내에서는 영국발 변이 바이러스가 가장 많지만 최근 전 세계적으로 브라질발 변이 바이러스가 빠르게 퍼지고 있다고 하는데, 어느 정도 심각한 건가요? 국내서도 브라질발 변이에 대한 대비, 어떻게 해야할까요?

<질문 6> 이번에는 백신 접종 관련 이야기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백신 접종이 시작된지 한 달이 넘어가는데요. 현재 우선접종 대상자의 약 64% 정도가 접종을 마쳤다고 합니다. 전국민 대비 접종률이 1.5% 정도인데, 현재 백신 접종 상황,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1> 이대로라면 11월까지 집단면역이 쉽지 않아 보이는데요. 앞으로 백신 접종에 있어 수급이 가장 중요할 것 같은데, 2분기 백신 수급은 어떤 상황인가요?

<질문 7> 백신수급도 문제지만, 접종 동의율도 중요한데요. 요양병원과 시설의 65세 이상 고령층의 접종 동의율이 좀 낮았거든요? 다음 달부턴 75세 이상을 대상으로 접종이 시작됩니다. 75세 이상 접종 동의율은 어떤가요?

<질문 8> 조금전 얀센 백신에 대한 검증자문단의 회의 결과 내용이 발표됐습니다. 어떻게 보세요?

<질문 9> 다음 달부터 코로나19 백신 접종자를 위한 백신 휴가제가 도입될 예정인데요. 문제는 의무화가 아닌 권고 사항입니다. 이상반응이 있다면 의사 소견서 없이도 휴가 신청이 가능하다고 하는데요. 이상반응의 기준이 모호하지 않을까요?

<질문 9-1> 정부는 접종 뒤 이상 반응 호소 비율이 1~2%에 그쳐 강제적인 휴가 도입 필요성이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고 했는데요. 의무화 하지 않는다면 백신 휴가제에 대한 실효성이 없을 거라는 목소리도 있더라고요. 어떻게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이 시각 뉴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