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자료]


일제강점기 강제 동원된 피해자들이 고령으로 세상을 떠나면서 생존자의 수가 가파르게 줄고 있습니다.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정부로부터 의료지원금을 받는 징용 피해자 수는 지난달 1일 기준 640명으로 집계됐습니다.

ADVERTISEMENT


행안부는 '대일항쟁기 강제 동원 피해조사 및 국외 강제 동원 희생자 등 지원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에 따라 2008년부터 생존자들에게 80만원의 지원금을 해마다 지급하고 있습니다.

의료지원금을 받는 수급자 현황을 토대로 생존한 징용 피해자 수를 추산하고 있습니다.

수급자는 2015년 9,938명으로 1만명 아래로 떨어졌습니다.

ADVERTISEMENT


연도별로는 2020년 3,140명, 2021년 2,400명, 2022년 1,815명, 2023년 1,264명, 지난해 904명 등으로 급격히 줄었습니다.

올해 수급자 가운데 최연소는 86세, 최고령은 109세이며 100세 이상 초고령 수급자는 172명인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이국언 일제강제동원시민모임 이사장은 "고령의 피해 생존자들께서는 일본의 사죄를 받을 수 있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았다"며 "정부가

역사적 진실을 다음 세대에 계승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일본 #강제_징용 #고령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경인(kikim@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