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년 한 해 우리나라는 1973년 이래 가장 더웠으며 9월까지 이어진 폭염과 열대야, 장마철 폭우, 이례적인 11월 폭설 등 다양한 이상기후 현상을 겪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기상청(청장 장동언)은 관계 부처와 합동으로 지난해 이상기후 발생과 분야별 피해 및 대응 현황, 향후 대책을 담은 '2024년 이상기후 보고서'를 발간했습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여름철 평균기온은 25.6도로 평년 대비 1.9도 높아 전국적인 기상 관측을 시작한 1973년 이래 역대 1위를 기록했고, 열대야 일수도 20.2일로 평년의 3.1배에 달하며 최곳값을 보였습니다.
여름철 더위가 초가을까지 이어지면서 9월 평균기온은 24.7도로 역대 가장 높았고, 이례적으로 많은 폭염일수(6.0일)와 열대야 일수(4.3일)가 나타났습니다.
작년 바다도 뜨거워 우리나라 주변 해수면 온도(17.8도)는 최근 10년(2015~2024년) 중 1위를, 이상고수온 발생일도 182.1일로 10년 평균(50.4일)의 3.6배에 달했습니다.
여름철 폭우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작년 장마철에는 전국적으로 역대 11번째로 많은 474.8㎜의 비가 내렸습니다.
여름철 강수 중 78.8%가 장마철에 오면서 1973년 이후 장마철에 가장 강수가 집중되는 형태를 보였습니다.
1시간 최다강수량이 100㎜를 넘는 사례도 9개 지점에서 관측됐습니다.

11월에는 때아닌 폭설이 쏟아졌습니다.
여름 더위가 늦가을까지 이어지며 서해가 예년보다 뜨거웠고, 대기 온도와의 차이로 중부 지방을 중심으로 이례적인 11월 대설이 내렸습니다.
특히, 서울과 인천, 수원 세 지점에서는 11월 적설 신기록이 수립됐습니다.
다양한 이상기후로 여러 사회적, 경제적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여름철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 운영 기간(5월 20일~9월 30일)에 신고된 더윗병 환자는 총 3,704명으로 전년(2,818명) 대비 31.4% 증가했습니다.
폭염과 고온 현상이 잇따르면서 인삼 등 농작물 재배 면적 3,477ha의 피해가 발생했고, 양식생물이 대량 폐사(1,430억 원 피해)했습니다.
7월에 발생한 호우로 9,447ha의 농작물 피해, 891ha의 농경지 유실·매몰, 102.2만 마리의 가축 피해, 전체 산사태 피해의 95%(167ha)가 발생하기도 했습니다.
11월 때아닌 대설 당시에는 2,397ha의 농업시설, 476ha의 농작물, 129ha의 축산시설, 102만 마리의 가축 피해와 함께, 임산물 재배시설 붕괴 등을 겪었습니다.
여름철 자연 재난 대책 기간에 태풍과 호우로 인한 인명피해는 6명, 재산 피해는 3,893억원 발생했습니다.
대설로 인한 인명피해와 재산 피해는 6명과 4,556억원으로 집계됐습니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작년은 기후위기를 실감했던 한 해"라며 "기후변화와 이상기후의 과학적 원인을 정확하게 분석하고 관계기관과 산업계 및 국민에게 시의적절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안전과 생명을 지키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동혁(dhkim1004@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