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버려진 현수막이 최소 5천여 톤에 이르고 이 가운데 재활용된 분량은 3분의 1에 그쳤습니다.
오늘(15일) 정부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발생한 폐현수막은 5,408톤으로 재활용률은 33.3%(1,801톤)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ADVERTISEMENT
재작년(발생량 6,130톤·재활용률 29.6%)과 비교하면 발생량은 줄고 재활용률은 올라갔지만 여전히 3분의 2는 소각 등의 방식으로 그냥 폐기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정부가 집계하는 폐현수막 양은 지방자치단체가 수거한 양을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지자체 정비 대상이 아닌 현수막이나 설치자가 스스로 철거한 현수막은 집계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기후변화행동연구와 녹색연합은 2022년 10㎡ 크기 현수막 1장(중량 1.11㎏)을 만들고 폐기하는 과정에서 4.03㎏(이산화탄소 환산량)의 온실가스가 배출되는 것으로 추산했습니다.
이를 적용하면 지난해 현수막 때문에 최소 1만9,634톤의 온실가스가 나왔을 것으로 추산됩니다.
#현수막 #재활용 #이산화탄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ADVERTISEMENT
이성섭(leess@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