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자료사진]


봄·가을 간절기는 짧아지고 여름은 길어지면서 유통기업의 매출과 영업 전략이 영향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오늘(16일) 백화점업계에 따르면 올해 2∼3월 롯데백화점의 패션 카테고리 매출은 지난해 수준에 머물렀습니다.

ADVERTISEMENT


같은 기간 신세계는 0.9%, 현대백화점은 0.2% 각각 증가하는 데 그쳤습니다.

간신히 역성장은 면했지만 6∼7% 성장세를 보이던 예년과 비교하면 저조한 수준입니다.

때 이른 더위 탓에 매출 증가율이 2% 안팎에 불과했던 지난해보다도 성장세가 크게 둔화했습니다.

봄철 간절기 패션 상품 수요가 이처럼 저조한 것은 좀체 살아나지 않는 소비심리에 더해 봄답지 않은 쌀쌀한 날씨가 이어지면서 수요가 급감한 탓입니다.

지난 2월에는 절기상 봄이 온다는 '입춘'과 얼음이 녹는다는 '우수' 전후로 일주일씩 강추위가 찾아와 월 평균기온을 -0.5℃까지 끌어내린 바 있습니다.

이는 2월 평균 기온으로 최근 10년 새 가장 낮은 수준으로, 지난해(4.1℃)와 비교하면 5℃ 가까이 뚝 떨어졌습니다.

ADVERTISEMENT


날씨 전망도 패션업계에 우호적이지 않습니다. 당장 오늘부터 20도를 웃도는 따뜻한 날씨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데다 올해는 특히 무더위가 일찍 찾아올 것이라는 예보가 나와 일각에서는 사실상 봄옷 장사는 끝났다고 보는 시각도 나옵니다.

이상기온이 매출에 직접적으로 타격을 주는 '기후변화 리스크'가 커지자 백화점업계도 대응책 마련에 애쓰고 있습니다.

[삼성전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반면 가전 양판점과 제조사는 때 이르게 찾아온 '여름 특수'로 분주한 모습입니다.

올여름 폭염이 예상되면서 냉방 가전을 미리 준비하려는 소비자들이 몰리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앞서 기상청이 지난 2월 공개한 '2025년 여름 기후전망'을 보면 올여름 기온이 평년(23.4∼24.0℃)보다 높을 확률이 60%로 나타났습니다.

롯데하이마트에 따르면 올해 1분기(1∼3월) 에어컨 매출은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약 50% 늘었습니다.

최근 3년간 1분기 평균 매출과 비교해도 약 20% 높습니다.

이달 들어서도 이런 추세가 이어지면서 지난 14일까지 매출이 지난해 동기보다 약 30% 증가했습니다.

삼성전자와 LG전자는 늘어난 고객 수요에 대응하고자 일찌감치 에어컨 생산 라인을 100% 돌리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의류 #가전 #트렌드 #변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