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극심한 불황을 겪는 면세업계가 뼈를 깎는 비용 절감 노력 덕에 올해 실적 개선을 이룰 것이라는 기대감이 나옵니다.
시내 면세점 정리에 따른 경쟁 완화 효과도 나타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ADVERTISEMENT
다만 이는 불황형 단기 자구책의 성과로, 고환율과 소비 침체 등의 악재가 지속하고 있어 면세 업황이 완전히 회복하려면 적지 않은 시간과 대책이 필요하다는 전망이 우세합니다.
오늘(7일) 업계에 따르면 롯데면세점의 1분기 영업이익은 흑자 전환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매출 기준 면세업계 1위인 롯데면세점은 사업 부진으로 지난 2023년 2분기 이래 손실을 봐왔습니다.
1분기 영업이익이 흑자로 돌아선다면 롯데면세점은 7개 분기 만에 플러스(+) 실적을 달성하게 됩니다.
업계에서는 '다이궁(중국인 보따리상) 손절 효과'로 분석하는 시각이 많습니다.
다이궁과 거래를 끊으면서 막대한 판매 수수료를 절감하게 됐고 그 효과가 고스란히 영업이익에 반영됐다는 해석입니다.
ADVERTISEMENT
다이궁이 국내 면세업체에서 대량으로 상품을 사 가면서 받는 수수료는 물건값의 30∼40%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롯데면세점의 수익 개선에는 다이궁과의 거래 중단 외에 지난해 6월 단행한 희망퇴직과 임원 급여 20% 삭감 등의 인력·비용 효율화 작업의 효과도 반영된 것으로 분석됩니다.
1분기 매출은 다이궁과의 거래 중단 여파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절반 수준으로 급감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신라, 신세계, 현대 등 다른 면세업체도 올해 하반기로 가면서 체질 개선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기대하는 분위기입니다.
신세계면세점은 지난해 11월 창사 이래 처음으로 희망퇴직 프로그램을 도입하면서 유신열 대표이사를 포함한 임원 7∼8명의 급여를 20% 깎았습니다.
올해 1월에는 수익성이 떨어지는 시내면세점인 부산점을 폐점했습니다.

현대면세점은 지난달 초 희망퇴직 신청을 받았고, 오는 7월까지 시내면세점인 서울 동대문점을 폐점하고 삼성동 무역센터점을 3개 층에서 2개 층으로 축소하는 등 고강도 사업 효율화 작업을 진행 중입니다.
시장에서도 올해 전반적으로 면세 업황이 다소 개선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최악의 국면을 지났다는 관측도 나옵니다.
유정현 대신증권 연구원은 "면세업이 저점을 통과했다"고 평가했습니다.
배송이 미래에셋증권 연구원도 면세 업황의 "추가 악화 가능성은 제한적"이라고 진단했습니다.
#면세점 #저점 #통과 #실적 #턴어라운드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