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들은 지난달 17일 기준금리를 연 2.75%로 유지하면서 환율과 가계부채 불안 등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한은이 오늘(7일) 공개한 금융통화위원회 통화정책방향 회의(4월 17일 개최) 의사록에 따르면, 이창용 총재를 제외한 6명 위원 가운데 5명은 기준금리 동결을 지지했습니다.
ADVERTISEMENT
한 위원은 당시 회의에서 "여전히 큰 한국과 미국 간 금리차, 외환시장의 변동성, 무역 협상 전개 과정의 불확실성을 감안할 때 이번 회의에서는 금리를 현 수준에서 동결하고 국내외 경제 상황과 주요국의 정책 방향을 조금 더 지켜보는 것이 좋겠다"고 밝혔습니다.
동결 의견을 낸 다른 위원도 "경제 성장세가 상당 폭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대내외 여건 변화에 따른 성장 경로의 불확실성이 매우 크다"며 "금융안정 측면에서는 높은 환율 변동성 지속에 따른 위험에 유의할 필요가 있고, 가계부채 증가세 둔화 흐름이 예상대로 이어질지도 더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대내외 경제 환경의 불확실성이 너무 커서 금리 인하 효과 자체가 의문스럽다는 지적도 나왔습니다.
한 위원은 "추가로 기준금리를 인하하더라도, 현재와 같이 불확실성으로 경제 활동이 위축된 상황에서는 경제 주체의 소비, 투자, 고용 확대로 이어지기보다 금융·부동산 부문으로 자금 쏠림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고 말했습니다.
반면, 신성환 위원은 유일하게 경기 둔화를 막기 위해 금리 인하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신 위원은 "성장률이 당초 예상에 비해 큰 폭 하향 조정될 가능성이 커지고 성장률 둔화에 따른 물가의 하방 압력도 커지는 상황을 고려할 때, 큰 폭의 금리인하가 필요하다"며 "다만 고환율 우려가 상존하고 수도권 주택가격의 불안이 다시 확대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렵다는 점을 고려해 이번에는 금리를 2.50%로 0.25%포인트(p) 인하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습니다.
ADVERTISEMENT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기준금리 #경기부양 #환율불안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윤형섭(yhs931@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