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단지[연합뉴스 자료사진][연합뉴스 자료사진]


지난달 서울 등 수도권 아파트 시장 거래량은 주춤했지만, 서울 강남구, 경기 과천시 등에서는 거래의 절반 이상이 신고가 거래였던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일부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가격 강세가 이어지고 있는 모습입니다.

오늘(12일) 부동산 플랫폼 직방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올해 4월 수도권 아파트 거래량이 1만3,423건으로 전달(2만5,456건)보다 약 47% 줄었다고 밝혔습니다.

ADVERTISEMENT


수도권 전체 신고가 거래 비중은 3월 9.10%에서 4월 5.97%로 하락했습니다. 서울은 18.75%에서 15.44%로, 인천은 2.97%에서 2.55%로, 경기는 3.75%에서 3.08%로 각각 감소했습니다.

이는 토지거래허가구역 재지정, 오는 7월 스트레스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3단계 도입, 조기 대선 등 주요 정책·제도 변화에 대한 관망심리가 확산해 거래가 위축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하지만 서울 강남구는 전체 거래의 59%가 종전 최고가와 동일하거나 이를 초과한 신고가로 거래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강남구의 신고가 거래 비중이 절반을 넘긴 것은 2022년 4월(53.7%) 이후 처음입니다.

용산구도 고급 주거지와 개발 기대감이 맞물리며 신고가 거래가 46.2%로 높은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목동신시가지 재건축 기대감이 반영된 양천구는 전월(25.9%) 대비 크게 상승한 44%의 신고가 거래 비중을 보였습니다.

이밖에 서초구(33.3%), 송파구(27.9%), 마포구(26.0%), 강동구(22.8%), 성동구(22.2%) 등 한강변과 도심 주요 지역에서 신고가 거래 비중이 20%를 웃돌았습니다.

반면 도봉구(0.9%), 강북구(1.5%), 노원구(1.9%) 등 외곽 지역은 1% 안팎으로 낮았습니다.

ADVERTISEMENT


경기도에서는 과천시의 4월 신고가 거래 비중이 62.5%로 가장 높았습니다. 주요 고가 단지를 중심으로 거래가 형성되며 서울 강남과 유사하게 고급 주거지에 수요가 몰리는 양상을 보였습니다.

성남시 분당구(15.7%)는 판교 백현동 중대형 아파트와 수내·서현동 등 1기 신도시 내 리모델링 추진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이어졌습니다.

부천시 오정구(15.4%)와 소사구(10.1%)에서는 서울 접근성이 우수하고 가격 부담이 상대적으로 낮은 중소형 구축 단지를 중심으로 신고가 거래가 포착됐습니다.

아파트 거래량은 전반적으로 줄었지만, 시장을 관망하던 수요자들이 선호 지역을 중심으로 선별 매수에 나서면서 신고가 거래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직방 관계자는 "일부 고가 단지의 상승 거래는 시장 기대치에 영향을 주는 기준점(앵커) 역할을 하며 이른바 '앵커링 효과'를 통해 주변 단지 가격 형성에도 간접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습니다.

#부동산 #아파트 #국토부 #강남 #과천 #집값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다미(smju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