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두산그룹은 오늘(13일) 하드웨어에 탑재된 인공지능(AI)이 스스로 판단하고 행동하는 '피지컬 AI'(PAI) 분야에 본격 투자하고, 지주 부문에 피지컬 AI 혁신 담당 조직인 'PAI 랩'을 신설했다고 밝혔습니다.
피지컬 AI는 인간 수준의 의사결정 능력을 지닌 AI가 실물 하드웨어에 적용돼 다양한 작업 환경 속에서 스스로 상황을 인지하고 판단 및 행동까지 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실제 기계나 로봇의 작업 능력을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어 산업 현장에서 활용도가 높습니다.
ADVERTISEMENT
글로벌 빅테크가 주도해 발전하는 일반적인 AI 기술·제품과는 달리, 피지컬 AI의 개발·운용에는 해당 사업을 하는 기업만이 가진 전문적인 지식과 데이터, 현장에서의 풍부한 경험이 필수적이라고 두산은 설명했습니다.
이에 두산은 현재 지속 중인 주요 사업과 관련된 피지컬 AI에 대한 선제적 투자와 사업 추진을 통해 피지컬 AI 생태계를 선점해 나갈 계획입니다.
이를 위해 PAI 랩을 통해 로봇, 건설기계, 발전기기 등 두산의 주요 사업 부문과 관련된 다양한 하드웨어의 지능화를 주도할 예정입니다.
특히 두산로보틱스의 협동로봇에 피지컬 AI를 접목하면, 기존 단순 반복 작업 보조장비 개념에서 비정형 작업 환경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는 로봇 설루션으로 진화할 것으로 예측됩니다.
두산밥캣의 경우, 건설기계가 자율주행을 하는 수준을 뛰어넘어 기계 스스로 작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자율작업 모델로의 진화를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두산에너빌리티의 발전기기 부문은 발전소 내 주요 기기들이 상호작용하면서 스스로 판단하고 에너지 생산 효율을 극대화하는 방식으로 발전할 것으로 두산은 기대했습니다.
ADVERTISEMENT
두산은 이런 피지컬 AI 추진의 일환으로 지난달 25일 미국 스탠퍼드대학 휴먼센터드 AI 연구소(HAI)와 산학 협력 파트너십을 맺었습니다.
두산은 HAI와 산학협력을 맺은 글로벌 기업 중 최초의 산업재 기업입니다.
양측은 피지컬 AI 관련 다양한 협력 연구 및 인적 교류를 통해 기술 협력과 지식 전수를 진행하기로 했습니다.
또 두산은 이번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AI 분야의 우수한 글로벌 인재들과 폭넓은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채용을 추진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AI 관련 글로벌 스타트업과의 전략적 협력 및 투자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나갈 예정입니다.
두산 관계자는 "PAI 랩을 이끌어갈 리더로 글로벌 AI 학계·업계 내 구루급 인재 영입을 계획하고 있다"며, "PAI 랩이 중심이 돼 각 계열사와 유기적인 협업을 통해 각사 사업 영역과 관련 있는 피지컬 AI 시장을 선점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더 나아가 새로운 사업 모델 발굴과 포트폴리오 확장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습니다.
#두산 #두산로보틱스 #협동로봇 #AI #피지컬AI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주영(ju0@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