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TV 제공]


전 지구적으로 향후 5년 이내에 지난해 기온을 넘어선 극한 폭염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지난해 전 지구의 평균기온은 15.10도로 기상 관측 이후 가장 높았고 세계 곳곳에서 최악의 더위가 속출했습니다.

ADVERTISEMENT


세계기상기구(이하 WMO)의 전 지구 1년~10년 기후 업데이트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2029년 중 적어도 한 해가 기록상 가장 더웠던 2024년보다 더 뜨거울 가능성은 80%에 달합니다.

향후 5년간 매년 전 지구 평균 기온은 산업화 이전(1850~1900년) 기준보다 1.2~1.9도 높을 것으로 예측됐고, 적어도 한 해에 전 지구 평균 기온이 산업화 대비 1.5도를 초과할 가능성도 86%에 달하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앞으로 5년 전체 평균 기온이 1.5도를 초과할 가능성은 70%로 2023년 보고서의 32%, 2024년의 47%와 비교해 급격히 증가했습니다.

ADVERTISEMENT


특히 올해 보고서에는 향후 5년 중 적어도 한 해에 2도를 초과할 가능성(1%)도 희박하지만, 처음으로 제시됐습니다.

아울러 향후 있을 5번의 겨울(11월~3월) 동안 북극의 온도 상승은 평균 2.4도로 전 지구 평균에 비해 3.5배 이상 클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이번 보고서는 영국 기상청 주도로 한국 기상청을 포함한 14개 기관이 참여해 작성됐습니다.

코 배럿 WMO 사무차장은 "기록상 가장 더운 최근 10년을 경험했고, 이번 WMO 보고서는 향후 몇 년간 이 추세가 지속될 것임을 제시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지속적인 기후 모니터링과 예측을 통해 의사결정권자들에게 과학에 기반한 도구와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강조했습니다.

2025년 우리나라 연 기후 전망[기상청 제공][기상청 제공]


지난해 역대 가장 심한 폭염과 열대야를 겪은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닙니다.

당장 올해 우리나라의 연평균 기온이 평년보다 높을 확률은 70%에 달해 올여름 폭염이 만만치 않을 전망입니다.

ADVERTISEMENT


기상청은 과거 60년(1961~2020년) 대비 우리나라의 향후 5년 평균 기온이 높을 확률을 98.9%로 예측했습니다.

#온난화 #더위 #폭염 #기상청 #날씨 #기후 #기후변화 #기온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동혁(dhkim1004@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