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류 충돌, 난기류 등에 의한 추락 가능성도 조사"

보존되고 있는 해군 초계기 추락 현장(포항=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30일 경북 포항시 동해면 해군 초계기 추락 현장에서 해군 군사경찰이 현장을 통제하고 있다. 2025.5.30 psik@yna.co.kr(포항=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30일 경북 포항시 동해면 해군 초계기 추락 현장에서 해군 군사경찰이 현장을 통제하고 있다. 2025.5.30 psik@yna.co.kr


해군은 어제(29일)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P-3 해상초계기 추락 사고와 관련해 초계기는 마지막 교신 1분 뒤 추락했으며, 교신에서 비상상황과 관련한 내용은 없다고 밝혔습니다.

해군 관계자는 오늘(30일) 기자들과 만나 사고 당시 상황에 대해 이같이 전했습니다.

ADVERTISEMENT


해군 관계자는 "사고기가 포항기지에서 조종사 기량 향상을 위한 이착륙 훈련 중이었다"면서 "오후 1시 43분 이륙해 1차 훈련 후 2차 훈련을 위해 오른쪽으로 선회하던 중 오후 1시 49분 경 알 수 없는 이유로 기지 인근 야산에 추락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해군은 사고 직후 해군참모차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사고대책본부를 구성해 사고 원인을 조사 중이며, 사고 기종인 P-3 해상초계기의 비행 중단조치를 내렸습니다.

정확한 사고원인 규명을 위해 관제탑에 저장된 항적자료와 사고기 음성녹음저장장치, 기체 잔해 등을 종합적으로 분석해 확인할 계획입니다.

ADVERTISEMENT


사고 직전 마지막 교신에서 비상상황에 대한 보고가 없던 점으로 미뤄볼 때, 해군은 조류 충돌 가능성과 기상 급변, 난기류 등 외력에 의한 추락 가능성까지 염두에 두고 조사 중입니다.

초계기 승무원 4명은 오늘(30일) 오전 해군본부 보통전공사상 심사위를 통해 모두 순직으로 결정됐고, 해군은 국방부에 1계급 추서 진급을 건의할 예정입니다.

해당 승무원은 정조종사 박진우 소령, 부조종사 이태훈 대위, 전술사 윤동규 중사, 강신원 중사 등 4명입니다.

오후 1시부터 포항 해군항공사령부 체육관에는 합동분향소가 마련되고, 장례는 해군장으로 엄수됩니다.

해군은 "국민 여러분께 다시 한번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면서 "사고 원인을 철저히 조사해 재발방지대책을 수립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해군 #대잠초계기 #P3 #초계기추락사고 #순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ADVERTISEMENT


김민아(goldmina@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