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제작 최자윤] 일러스트[제작 최자윤] 일러스트


우울감이나 불안감을 느끼는 노인의 치매 위험도가 그렇지 않은 노인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북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박종일 교수 연구팀은 미국 컬럼비아대학교 노인정신의학 연구진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이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고 오늘(30일) 밝혔습니다.

ADVERTISEMENT


연구팀은 알츠하이머병 뇌 영상 선도연구(ADNI) 코호트 데이터를 기반으로, 경도인지장애와 경증 알츠하이머 치매 환자 1,472명을 최대 5년간 추적 관찰했습니다.

또한 환자들을 정신행동증상이 거의 없는 '무증상군', 우울·불안·무감동 증상을 가진 '무감동·정서증상군', 다양한 정신행동증상이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복합증상군'으로 나누었습니다.

분석 결과, 세 유형 가운데 '무감동·정서증상군'이 전체 환자의 40%를 차지해 가장 높은 비중을 보였습니다.

ADVERTISEMENT


특히 이 집단은 기억력 저하 속도가 가장 빠르고, 경도인지장애에서 치매로 진행될 위험도 무증상군보다 약 1.4배 높았습니다.

박종일 교수는 "이번 연구는 정신행동증상이 단순한 동반 증상이 아니라 치매로의 진행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신호라는 사실을 밝혀낸 것"이라며 "특히 우울, 불안, 무감동 등의 증상이 있다면 치매로의 진행 위험이 크므로 이를 조기에 발견하고 개입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생물학적 정신의학 분야의 권위 있는 국제 학술지 'Biological Psychiatry'(IF 9.6) 6월호에 게재될 예정입니다.

#치매 #우울증 #노인정신건강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김예림(lim@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