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21일 열린 전국종별육상선수권 남자 대학부 3,000m 장애물 경기에서 이례적인 ‘느린 레이스’가 펼쳐지며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날 출전한 선수들은 출발 총성이 울린 뒤 뛰어나가긴커녕 여유로운 레이스를 선보였습니다.
ADVERTISEMENT
일부 선수들은 서로 대화를 나누기도 했습니다.
1위를 차지한 정민국 선수의 기록은 10분 16초 56에 그쳤습니다.
이는 지난 2007년에 나온 한국 남자 대학부 최고 기록(8분 50초 41)은 물론, 여자 최고 기록인 9분 59초 05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준입니다.
ADVERTISEMENT
이 경기의 중계를 맡은 윤여춘 해설위원은 "선수들의 페이스가 늦다. 너무 순위 경쟁을 하다 보니까 조깅도 아니고 워킹보다 조금 빠른 것 같다"며 "이것이 대학 육상 선수들의 현실이다. 이런 경기를 국민이나 관중들에게 보여주는 건 우리 육상인들의 창피한 모습이다"고 비판했습니다.
경기 내내 걷는 듯한 레이스가 이어지자, 윤 해설위원은 "이렇게 뛰면 중계하는 저희도 힘이 나지 않는다. 시청하는 분들도 분명히 채널을 돌릴 거다. 육상의 인기를 저하시키는 경기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며 꼬집었습니다.
이어 "앞으로 당분간은 대학 3,000m 장애물 경기는 중계해서는 안 되겠다. PD님한테 제가 이야기해서 앞으로 대학은 당분간은 중계방송하지 않는 거로 그렇게 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초등학생 경기도 이렇게 뛰지 않는다”며 속상함을 드러내던 윤 위원은 "제가 볼 때 이 선수들은 육상 인기를 저하하는 선수들이다. 정말 속상해서 하는 말"이라고 고개를 저었습니다.
해당 장면이 담긴 중계 영상은 110만 회 이상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화제가 됐습니다.
누리꾼들은 "러닝 크루인가", "중계를 늘려달라고 해도 모자랄 판에 하지 말자고 할 정도라니 충격이다"는 등의 반응을 보였습니다.

논란이 커지자, 자신을 이번 대회에서 1위를 차지한 선수라고 밝힌 인물이 댓글을 달았습니다.
ADVERTISEMENT
그는 "언제부터 관심들이 이렇게 많으셨다고 또 한 번 놀랍다. 저희도 누군가의 귀한 자식이고 아직은 어린 선수들인데 다들 말들 쉽게 하신다"고 반박했습니다.
그러면서 "오히려 전국체전에서 다른 종목이 순위 싸움을 하면 그건 전력이고 전술인데, 어떤 종목은 그게 되고 어떤 종목은 안 된다는 게 참 웃기다"고 불쾌함을 드러냈습니다.
이에 한 누리꾼이 "어떤 전략이냐"고 묻자, "그냥 몸도 좋지 않았고 스피드 훈련만 했으니까 마지막에 승부를 보려고 했다"고 답하기도 했습니다.

윤 해설위원은 29일 KBS스포츠에 “선수들이 담합해서 기록 위주가 아닌 순위 경쟁을 펼친 것에 대해 안타까워서 한 이야기였다"며 "최선을 다했는데 기록이 안 나오는 건 본인의 수준이기 때문에 어쩔 수 없지만, 담합해서 경기를 하는 건 꼭 고쳐야 할 문제"라고 밝혔습니다.
구조적인 문제도 언급했습니다.
"국내 대회에서 1위할 경우 얼마, 2위 하면 얼마의 포상금이 측정돼 있지만, 아시안게임에서 메달을 못 따면 아무런 혜택이 없다"며 "기록에 대한 보상을 해줘야 한다. 체육회나 국가에서 심각하게 생각해볼 문제"라고 지적했습니다.
#전국종별육상선수권 #윤여춘 #육상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서연(jswhy@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