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 한 건설현장[연합뉴스 자료사진 제공][연합뉴스 자료사진 제공]


건설 경기 악화로 대형 건설사 간 수주 실적에도 양극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습니다.

오늘(2일) 건설업계에 따르면 올해 시공 능력 평가 상위 10위 건설사 중 '1조원 클럽'을 달성한 곳은 현재까지 7곳으로 집계됐습니다.

ADVERTISEMENT


삼성물산 건설부문(5조213억원), 포스코이앤씨(3조4,328억원), 현대건설(2조9,420억원), DL이앤씨(2조6,830억원), 롯데건설(2조5,354억원), GS건설(2조1,949억원), HDC현대산업개발(1조3,18억원)입니다.

이 중 DL이앤씨는 지난달 31일 1조7,584억원 규모의 한남5구역 수주에 성공해 막판에 합류했고, HDC현대산업개발도 지난달 26일 부산 연산 10구역 재개발 정비사업(4,453억원)을 따내며 1조원 클럽에 들었습니다.

수주 실적이 있는 곳 중 아직 1조원이 안 되는 곳은 대우건설입니다. 시공 능력 평가 3위인 대우건설은 지난달에야 군포1구역(2,981억원)으로 마수걸이했습니다.

ADVERTISEMENT


하지만 현대엔지니어링과 SK에코플랜트는 아직 아파트 재개발과 재건축 수주 실적이 없습니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지난 2월 10명의 사상자를 낸 서울세종고속도로 현장 사고 등의 여파로 신규 수주를 중단한 상황이어서 상반기를 신규 수주 없이 넘길 가능성이 큽니다. SK에코플랜트는 이번 달 중순 예정된 면목7구역 재개발 시공사 선정 결과에 따라 상반기 마수걸이 수주를 할 가능성도 점쳐집니다.

전문가들은 공사비가 급등하고 부동산 시장이 침체하면서 건설사들도 사업성과 경쟁력 등을 따져 '될 만한 곳'을 골라 노리는 '선별 수주' 경향이 짙어졌다고 분석했습니다. 게다가 '똑똑한 한 채'로 수요가 집중되면서 재개발, 재건축 조합원들의 아파트 브랜드 '편식'이 심해졌고, 강남권과 같은 인기 지역은 '톱3' 건설사가 아니면 수주하기 쉽지 않다는 이야기도 나옵니다.

이런 가운데 다른 사업 부문을 적극적으로 키우거나 해외에서 추가 기회를 찾으려는 건설사들도 있습니다.

SK에코플랜트는 최근 편입이 결정된 SK머티리얼즈의 반도체 소재 자회사 4곳을 통해 반도체 종합 서비스 사업 부문을 강화할 전망입니다.

대우건설은 지난달 26일 투르크메니스탄 비료공장 프로젝트 본 계약을 체결하는 등 아시아 시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지난달 21일에는 정원주 대우건설 회장이 인도네시아로 가 프라보워 수비안토 대통령을 예방하고 신규 사업 참여를 포함한 다양한 협력 방식을 논의했습니다.

#건설 #부동산 #아파트 #재개발 #재건축 #삼성물산 #현대건설

ADVERTISEMENT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정다미(smjung@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