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백악관이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에 대한 첫 입장에서 한미동맹이 견고할 것이라고 강조하는 한편 이례적으로 중국을 언급한 건, 이재명 정부가 미중 사이 '균형외교'에 나설 가능성에 대해 견제구를 던진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습니다.
백악관은 현지시간 3일 한국 대선 결과에 대한 미국 정부의 견해를 묻는 연합뉴스의 서면 질의에 '백악관 당국자' 명의로 보낸 답변에서 "한미동맹은 철통같이 유지된다"고 밝혔습니다.
ADVERTISEMENT
그런 뒤 "한국은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를 진행했지만, 미국은 전 세계 민주주의 국가들에 대한 중국의 개입과 영향력 행사에 대해서는 여전히 우려하며 반대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동맹국인 한국의 대선 결과에 대해 논평하면서, 제3국인 중국에 대해 언급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입니다.
이런 이례적 메시지에는 관세를 시작으로 점차 확전 양상을 보이는 미중 갈등 상황, 그리고 이 대통령이 중국과 관련해 유화적으로 해석될 수 있는 견해를 피력한 과거 등에 대한 트럼프 행정부의 인식이 투영된 것이란 분석이 나옵니다.
ADVERTISEMENT
앞서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장관은 지난달 31일 아시아안보대화(샹그릴라대화·싱가포르) 연설에서 "중국이 아시아에서 패권국이 되려 하고 있다"며 "우리는 공산당 중국의 공격을 억제하는 쪽으로 방향을 재설정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그러면서 "우리는 동맹국과 파트너 국가에 자신의 역할을 다할 것을 요구한다"고 밝히고, "중국에 대한 경제적 의존은 긴장된 시기에 중국의 악의적 영향력을 심화시키고 국방 관련 결정의 공간을 복잡하게 만든다"고 지적했습니다.
안보는 미국에 의지하면서 경제는 중국과의 협력을 중시하는, 이른바 '안미경중'(安美經中) 행보를 하지 말 것을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 동맹국들에게 요구한 메시지로 해석되는데, 이번 백악관의 중국 언급 역시 같은 맥락이 담긴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백악관의 이번 입장은 이 대통령 당선을 축하하면서 한미동맹, 한미일 3자 협력 등을 강조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의 성명과도 결이 달랐습니다.
외교부서인 국무부가 외교적 언어로 입장을 냈다면, 백악관은 '마가'(Make America Great Again)로 불리는 트럼프 핵심 지지층의 목소리를 반영한 메시지를 낸 것으로도 볼 수 있는데, 실제 이날 일부 '마가'인사들은 한국 대선 결과에 대해 비판적인 의견을 내기도 했습니다.
#이재명 #미국 #중국 #트럼프 #미중갈등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ADVERTISEMENT
정서연(jswhy@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