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최근 계란값이 크게 오른 가운데, 계란 산지 가격이 적어도 오는 8월까지 강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농경연)은 '농업관측 6월호' 보고서를 통해 오는 8월까지 석 달간 예측값을 발표하면서 이달 계란 산지 가격이 특란 10개에 1,850~1,950원으로 1년 전보다 12.4~18.5% 오를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ADVERTISEMENT
이는 지난 2020년부터 작년까지 가격 중 최대·최소를 제외한 3년 평균인 평년 가격과 비교하면 9.9~15.8% 높은 수준입니다.
계란 산지 가격 강세 원인으로는 산란계 고령화와 저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전염성 기관지염(IB), 가금티푸스 등 질병 발생으로 인한 생산성 저하가 꼽혔습니다.
농경연은 다음 달부터 8월까지 산지 특란 10개 가격은 1,750~1,850원으로 이달보다는 낮지만, 작년 7월과 비교하면 7.6~13.8% 높은 수준이 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ADVERTISEMENT

최근 계란 산지 가격은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습니다.
계란 산지 가격은 지난 3월만 해도 1년 전과 비슷했으나 4월과 지난달에는 특란 10개 기준으로 1,773원과 1,838원으로 각각 10.2%, 12.2% 올랐습니다.
농경연은 보고서에서 가격 상승과 관련해 "지난 3월 충청권에서 고병원성 AI가 집중적으로 발생해 지역 간 물량 불균형이 발생했고, 전국 평균 산지 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밖에 가금류 질병 발생으로 인해 산란계의 생산성이 저하된 것도 가격을 끌어올린 요인으로 꼽혔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역시 지난 달 설명자료를 통해 "지난 3월 말부터 다수 농가에서 환절기 전염성 기관지염 등 소모성 질병 발생으로 계란 생산량이 일시적으로 4~6% 감소했다고 추정한다"고 밝혔습니다.
또 대한산란계협회가 지난 3월부터 최근까지 계란 산지 가격을 한 개에 146원에서 190원까지 약 30% 인상 고시했고, 이후 계란 도매가격이 상승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러나 대한산란계협회는 계란 가격 상승은 정부 규제와 소매점의 폭리로 촉발됐다고 반박했습니다.
ADVERTISEMENT
협회는 축산법 시행령 개정에 따라 오는 9월부터 산란계 마리당 사육 면적 최소 기준이 0.05㎡에서 0.075㎡로 50% 확대되면서, 사육할 수 있는 산란계 마릿수가 줄고 계란 생산은 감소해 가격이 더 뛸 것이라는 입장입니다.
계란 산지 가격 상승에 따라 소비자 가격도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지난달 평균 계란 소비자 가격은 특란 한 판(30개)에 7,026원으로, 지난 2021년 7월 이후 4년 만에 7천원을 넘었습니다.
#계란 #가격 #상승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오주현(viva5@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