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제공]


농림축산식품부는 농축산물 가격이 전반적으로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나 폭우와 폭염 등 기상재해로 농작물 생육에 부정적 영향이 나타날 수 있다고 보고 선제적인 생산·공급 안정 대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통계청이 발표한 5월 소비자물가지수 조사 결과 농축산물은 작년 동기 대비 0.6% 하락(전월 대비 3.0% 하락)해 안정적인 상황입니다.

ADVERTISEMENT


특히 채소류는 배추·무 봄 작형 생산량 증가, 양파·마늘 2025년산 공급량 증가 등으로 이달에도 안정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7∼10월 출하하는 여름배추는 폭염 등 기상 여건에 따라 작황이 급격하게 변동하고 재배(의향)면적이 지난해보다 약 9% 감소할 것으로 전망돼 특히 8∼9월에 공급량 감소 폭이 커질 우려가 있습니다.

이에 농식품부는 8∼9월에 출하할 수 있는 물량을 더 심는 농가를 대상으로 수매계약을 미리 체결해 약 4천t(톤)의 추가 물량을 확보하고, 예비묘 250만주를 준비해 기상재해, 병해충 피해 등이 발생할 때 신속히 다시 심을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입니다.

ADVERTISEMENT


또 배추 2만3천t, 무 7,500t 등 정부 가용물량을 역대 최대 규모로 비축해 수급 불안기와 추석 성수기 등에 공급할 수 있도록 대비하고 있습니다.

생산량이 늘어 가격이 하락한 양파는 3만t을 사들이고 품질이 낮은 양파 출하는 억제하며 출하를 늦춰 가격을 안정시킬 계획입니다.

사과·배 등 과일류 공급도 안정적이지만, 농식품부는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기상재해에 대비해 생육 상황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현장 기술지도를 통해 품질이 향상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방침입니다.

산불 피해와 저온·우박 피해 등으로 생산량이 감소할 수 있다는 우려가 있지만 산불로 직접 피해를 본 사과 재배면적은 473ha(헥타르)로 전국 재배면적의 1.4% 수준이고, 저온 등 기상재해 피해도 미미해 생육 상황을 고려하면 평년 수준의 생산량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연합뉴스 제공][연합뉴스 제공]


반면, 축산물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가격이 올랐습니다.

돼지고기는 환율 상승 등으로 1분기 수입이 감소하면서 가격이 다소 높은 수준이나 하반기에 돼지 도축 마릿수가 늘면 가격이 안정화할 것이라고 농식품부는 보고 있고, 닭고기는 수입업체가 2~3개월분 재고량을 보유하고 있어 브라질의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발생에 따른 국내 수급 영향은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지난달 한우(등심 1등급) 소비자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상승했으나 평년보다는 여전히 낮은 수준입니다.

ADVERTISEMENT


계란은 3월 하순부터 산란계의 소모성 질병 발생으로 생산성이 하락해 가격이 상승했습니다.

이달에는 생산성이 회복돼 일평균 계란 생산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2.0% 증가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농식품부는 가공식품 원료육(돼지고기)과 제과·제빵용 계란가공품에 대해 할당관세(무관세)를 적용하고 있으며, 브라질 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 미발생 지역산 닭고기에 대한 수입 허용 절차를 신속히 진행하고, 태국 등 대체 수입선을 확보하는 한편 병아리 입식(사들여 키움) 확대, 종계 생산주령 연장 등 국내산 닭고기 공급을 늘리기 위한 대책도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추가경정예산으로 확보한 정부할인지원 예산(총액 2,280억원)을 활용해 여름 휴가철, 추석 등 농축산물 구매 성수기에 집중적으로 지원할 예정입니다.

#농식품부 #물가 #계란 #축산물 #과일 #농축산물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한지이(hanji@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