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제 다낭성 신증후군 환자의 신장과 정상 신장 비교[서울아산병원 제공][서울아산병원 제공]


서울아산병원은 다낭성 신증후군 환자에 대해 아시아에서 처음이자 세계에서 세 번째로 로봇 신장이식에 성공했다고 밝혔습니다.

다낭성 신중후군(POLR3-related leukodystrophy)은 희귀한 유전 질환으로 신장에 수많은 낭종이 발생해 신장이 최대 축구공 크기만큼 커지고 뇌의 백질에 이상이 생겨 말하기나 보행 장애, 근육 경직 등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ADVERTISEMENT


아산병원에 따르면 신·췌장이식외과 신성·김진명 교수팀은 지난 16일 다낭성 신증후군으로 인해 신장이 7배나 커진 만성 신부전 환자 이가영(24) 씨에게 로봇 신장이식을 시행했습니다.

보통 만성 신부전 환자에게 신장이식을 할 땐 기존 신장을 그대로 두지만, 다낭성 신증후군의 경우 새 신장 공간을 확보하고 합병증을 막기 위해 양측 신장을 제거하기 때문에 더 어려운 수술이라고 병원 측은 설명했습니다.

이 때문에 시야 확보에 좋은 개복 방식으로 보통 수술을 진행하는데 의료진은 환자가 20대임을 고려해 회복 속도와 미용 측면의 장점이 있는 로봇수술을 시도했다고 밝혔습니다.

ADVERTISEMENT


의료진은 이씨 배꼽 주변에 1㎝ 구멍 3개와 신장이 들어갈 수 있는 6㎝ 절개창을 내고 로봇 팔을 넣어 기존 신장을 조심스럽게 제거한 후 언니가 기증한 한쪽 신장을 안전하게 이식했고 이씨는 합병증 없이 순조롭게 회복해 지난 21일 퇴원했습니다.

신성 교수는 "다낭성 신증후군 환자에게 로봇 신장이식을 성공적으로 시행한 것은 아시아에서 처음이자 전 세계에서도 매우 드물다"며 "다만 환자에 따라 개복 방식이 더 안전하고 적합한 경우도 있기 때문에 전문의와 정확히 상의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습니다.

#다낭성신증후군 #로봇신장 #신장이식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경태(ktcap@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