멕시코 정부가 미국의 30% 관세 부과 예고에 대해 "합의에 도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자신했습니다.

현지시간 13일 멕시코 대통령실에서 제공하는 대통령 연설 속기록에 따르면,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대통령은 전날 소노라주에서 열린 한 공공병원 개원식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전 세계 주요국에 관세 서한을 보내면서 멕시코에도 30% 관세 부과 방침을 밝혔다"며 "서한에는 명확히 합의를 추구한다는 점을 명시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ADVERTISEMENT


그러면서 "저는 항상 이런 경우에 차분한 판단이 필요하다고 언급해 왔다"며 "이번 경우에도 미국 정부와 협력할 수 있는 것과 협력할 수 없는 것을 명확히 전달하면서 협상을 통해 합의에 이를 것으로 확신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멕시코 정부는 지난 11일 경제부·외교부·재무부·보안부·에너지부 대표단이 미국 국무부·상무부·에너지부·무역대표부 카운터파트와 만나 발 빠르게 논의를 진행했다고 부연했습니다.

좌파 민족주의 성향의 셰인바움 대통령은 "주권 침해는 절대 용납할 수 없다"면서 미국 정부의 관세 위협에 때론 보복 관세 부과를 암시하며 강경한 입장을 보이면서도 큰 틀에선 미국 측 요구를 일부 수용해 주며 충격파를 최소화하는 실용주의적 태도를 취하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특히 멕시코 정부는 "만약 (마약 등을 미국으로 반입하는) 카르텔에 맞서고 마약 펜타닐 유입을 차단하는 데 성공한다면 관세는 조정될 수 있다"고 밝힌 트럼프의 '8월 1일 관세 부과 예고' 서한 내용을 고려해 북부 국경 지대에서의 추가 보안 강화 조처에 나설 전망이라고 현지 방송 에네마스는 보도했습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왼쪽)과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AFP 연합뉴스 자료사진. 재판매 및 DB 금지]


#멕시코 #30관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이다현(ok@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