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손된 친일반민족행위자 '이두황'의 단죄비[민족문제연구소 전북지부 제공][민족문제연구소 전북지부 제공]


광복 80주년을 앞두고 을미사변 당시 명성황후 시해에 가담한 친일반민족행위자인 이두황(李斗璜·1858∼1916)의 단죄비가 파손됐습니다.

오늘(29일) 민족문제연구소 전북지부에 따르면 전주시 완산구 중노송동 기린봉 입구에 세워진 단죄비가 움푹 패고 한쪽으로 기울어졌습니다.

ADVERTISEMENT


단죄비 옆 교통신호 제어기 아랫부분에도 긁힌 흔적이 남아 있어, 교통사고에 따른 것으로 추정됩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사고 시기를 지난 22~23일로 추정하고 있습니다.

파손을 목격한 시민이 지난 24일에 이 사진을 민족문제연구소에 보내왔는데, 그 이전에는 비석이 멀쩡했기 때문입니다.

ADVERTISEMENT


김재호 민족문제연구소 전북지부장은 "일단 경찰에 수사를 의뢰한 상태"라면서 "고의 여부는 불투명하지만 역사적으로 큰 의미가 있는 단죄비이므로 꼭 범인이 잡혔으면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두황은 1895년 일어난 '을미사변' 당시 훈련대 제1대대장으로 명성황후 시해에 가담했습니다.

항일 의병 투쟁 시기였던 1908년에는 호남지역 의병 해산을 주도했고, 일제에 주권을 빼앗긴 경술국치 이후에는 일제 토지 수탈을 돕는 등 민족의 경제력을 착취했습니다.

이두황은 일제를 도운 공로로 현재의 전북도지사급인 도장관을 지내다가 1916년에 사망했습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지난 2016년에 이 같은 단죄비를 세운 바 있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박지운(zwoonie@yna.co.kr)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