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분 복귀'로 선회한 전교조…교육부에 '공 넘겨
[앵커]
법외노조화에 항의하며 노조 전임자 복귀명령을 거부해온 전교조가 일부 복귀로 방침을 바꿨죠.
진보교육감에게 쏠린 부담을 줄이고 교육부에도 유연한 입장을 취할 수 있는 여지를 주려는 다목적 카드로 해석됩니다.
김민혜 기자입니다.
[기자]
법외노조화가 된 이후 교단으로 복귀하라는 교육부 명령에 미복귀 원칙을 고수하며 강경하게 맞서온 전교조.
하지만 교육부의 복귀 시한을 나흘 앞두고 일부 복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전임자 70명 가운데 31명 만을 남겨두기로 한 것입니다.
여기에는 무엇보다 13개 시·도 진보교육감이 느낄 부담을 최소화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징계 등 인사권이 교육감에게 쥐어진 상황에서 지난한 법적 갈등이 진보 교육감이 펼칠 교육정책에 되려 걸림돌이 될 수 있을 거란 판단입니다.
<김정훈 / 전교조 위원장> "새로운 교육재편의 시기가 왔고 공교육을 정상화할 수 있는 기회가 왔습니다. 이 기회를 전교조 법외노조화라고 하는 상황으로 잃어버릴 수는 없었습니다."
또 교육부의 명령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보여주면서 교육부와의 강대강 대립을 누그러뜨려 보려는 시도로도 해석됩니다.
교육부의 입장은 아직 변화가 없는 상황.
교육부는 "복귀 마감시한까지 처리 결과를 받아보고 합당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아직 새 교육부 장관이 임명되지 않아 '리더십'이 공백인 상황에서 공을 넘겨 받은 교육부가 어떤 선택을 할지는 미지수입니다.
전교조 법외노조화에 따른 교육부 방침에 고민해온 진보교육감들 역시 오는 23일 열리는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이 문제를 논의할 가능성이 커 보여 어떨 결론이 날 지 주목됩니다.
뉴스Y 김민혜입니다.
(끝)
[앵커]
ADVERTISEMENT
법외노조화에 항의하며 노조 전임자 복귀명령을 거부해온 전교조가 일부 복귀로 방침을 바꿨죠.
진보교육감에게 쏠린 부담을 줄이고 교육부에도 유연한 입장을 취할 수 있는 여지를 주려는 다목적 카드로 해석됩니다.
김민혜 기자입니다.
[기자]
법외노조화가 된 이후 교단으로 복귀하라는 교육부 명령에 미복귀 원칙을 고수하며 강경하게 맞서온 전교조.
하지만 교육부의 복귀 시한을 나흘 앞두고 일부 복귀하기로 결정했습니다.
ADVERTISEMENT
전임자 70명 가운데 31명 만을 남겨두기로 한 것입니다.
여기에는 무엇보다 13개 시·도 진보교육감이 느낄 부담을 최소화하려는 것으로 보입니다.
징계 등 인사권이 교육감에게 쥐어진 상황에서 지난한 법적 갈등이 진보 교육감이 펼칠 교육정책에 되려 걸림돌이 될 수 있을 거란 판단입니다.
<김정훈 / 전교조 위원장> "새로운 교육재편의 시기가 왔고 공교육을 정상화할 수 있는 기회가 왔습니다. 이 기회를 전교조 법외노조화라고 하는 상황으로 잃어버릴 수는 없었습니다."
또 교육부의 명령을 부분적으로 수용하는 태도를 보여주면서 교육부와의 강대강 대립을 누그러뜨려 보려는 시도로도 해석됩니다.
교육부의 입장은 아직 변화가 없는 상황.
교육부는 "복귀 마감시한까지 처리 결과를 받아보고 합당한 조치를 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아직 새 교육부 장관이 임명되지 않아 '리더십'이 공백인 상황에서 공을 넘겨 받은 교육부가 어떤 선택을 할지는 미지수입니다.
전교조 법외노조화에 따른 교육부 방침에 고민해온 진보교육감들 역시 오는 23일 열리는 전국 시·도교육감협의회에서 이 문제를 논의할 가능성이 커 보여 어떨 결론이 날 지 주목됩니다.
뉴스Y 김민혜입니다.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