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뉴스1번지] 리비아 호텔 습격…국제사회 테러 비상

<출연 : 전옥현 전 국정원 1차장ㆍ한국국방안보포럼 양욱 연구위원>

ADVERTISEMENT


리비아의 한 호텔에서 이슬람 무장세력 IS대원으로 추정되는 괴한들의 습격으로 10명이 숨지는 사건이 발생했습니다.

조금 전 리비아 외교부가 사망자 10명의 국적을 확인해 공식 발표했는데, 한국인 피해자는 없는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전옥현 전 국정원 1차장, 양욱 한국국방안보포럼 연구위원과 지금까지 나온 내용들을 중심으로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지금까지 들어온 사건 경우부터 살펴주시죠. 무장괴한들이 호텔을 습격할 당시 상황이 구체적으로 알려졌나요?

<질문 2> 이번 공격이 이슬람 극단주의 무장세력 IS의 소행으로 알려지고 있는데, 이게 IS 소행이라는 것은 확실한 건가요?

<질문 2-1> 최근 IS가 일본 정부에 인질 맞교환을 요구한 사지다 알 리샤위가 지난 2005년 요르단 암만에서 60여 명이 희생된 연쇄 자살 폭탄 테러의 주범으로 알려지고 있는데요, 이번 사건과 연관성은 없을까요?

ADVERTISEMENT


<질문 3> 여기 호텔이 외교관이나 사업하시는 분들이 많이 가는 곳이라고 하던데요. 리비아에서 가장 고급 호텔이라고 해요. 이런 호텔을 노린 특별한 이유가 있다고 볼 수 있을까요?

<질문 4> 중요한 건 한국인 사망자가 확인된 건지 여부인데요, 정부는 숨진 외국인 10명에 한국인이 포함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습니다.지금까지 상황은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5> IS와 같은 테러단체와의 첩보전에서도 무인항공기라고 불리는 '드론'이 다양하게 활용되고 있다면서요? 최근 무인항공기인 드론 개발이 국가적 과제가 되고 있다고 하는데, 이유가 뭔가요?

<질문 6> 손자병법 '용간'(用間)편에도 5가지 종류의 간첩이 나온다고 합니다. 이중에서 가장 마지막에 나오는 "적을 정탐한 뒤 살아 돌아와 보고하게 하는 '생간'(生間)' 의 역할을 바로 드론이 하고 있는 것 같은데요, 드론이 국가 간 첩보전에서 간첩이 역할을 하고 있는 거죠?

<질문 7> 지난해 북한에서 날아온 무인기가 뒤늦게 발견되면서 국내에서도 무인기 공격에 대한 우려가 확산되기도 했었는데요, 이번에는 테러와의 전쟁에 선봉에 선 미 백악관이 무인기 공격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일이 벌어졌어요. 실제 드론을 사용해서 공격을 하면 막아내기가 현실적으로 힘든 건가요?

<질문 8> 현재 드론 시장에 나온 제품 가운데 90%는 군사용이라고 합니다. 하지만 앞으로 선진국이 드론 기술력을 높이는 데 더 힘쓸 것으로 보인다고 하는데요, 그렇다면 드론의 미래는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9> 북한 김정은 제1위원장이 오는 5월 러시아의 제2차 세계대전 승전 7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할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김정은이 러시아의 초청에 응할 가능성 상당히 높다고 봐야 겠죠?

<질문 10> 북한 김정은 제1위원장의 러시아를 방문이 구체화되면서 중국은 다소 부담을 갖게 됐습니다. 북한 지도자가 관례를 깨고 자국보다 러시아를 먼저 방문하는 것인데, 북한과 중국관계는 어떻게 전개될 것으로 보십니까?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