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 논쟁 동학혁명기념일 '전주화약일' 가닥 <전북>
[지방시대]
[앵커]
10년이 넘도록 지루한 논쟁이 이어지며 결론을 내지 못했던 동학농민혁명의 국가 기념일이 전주화약일로 잠정 결정됐습니다.
하지만, 전주화약이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어 진통이 예상됩니다.
백도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전국의 동학 단체들은 최근 동학농민혁명의 국가 기념일로 전주화약일인 양력 6월 11일을 결정했습니다.
투표에 참여한 20개 단체 가운데 13개가 찬성표를 던졌습니다.
전주화약일은 전주성을 점령한 농민군이 조선 정부와 폐정개혁안에 합의한 날입니다.
<이병규 /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조사부장> "전주화약은 조선정부가 동학 농민군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날이고 또 그 결과물로 폐정개혁안과 집강소까지 이어져서 이것이 동학농민혁명 과정에서 가장 큰 성과물 중의 하나고…"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정부와의 협의를 거쳐 내년 4월까지는 기념일 제정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이렇게 되면 2004년 이후 10년이 넘도록 이어져온 논쟁이 드디어 마침표를 찍게 됩니다.
하지만, 일부에서 법적 투쟁까지 불사하겠다며 반발하고 있어 결과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전주화약이 실제 맺어졌는지가 명확하지 않고 체결 날짜도 기록에 전혀 없다는 이유 때문입니다.
<서현중 / 갑오동학혁명유적보존회 이사장> "저희들은 결사반대하죠. 전주화약일이라는 것은 우리 농민군만 해산시켜놓고 자기(정부)들은 자기들 일대로 해버린 거죠. 그러니까 의미가 없는 날이죠."
전북 정읍시를 비롯한 자치단체들이 당시 회의와 투표의 적법성을 문제 삼고 있는 점도 변수입니다.
각종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10년이 넘도록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동학 기념일 제정이 이번에는 어떻게 결론날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 백도인입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지방시대]
ADVERTISEMENT
[앵커]
10년이 넘도록 지루한 논쟁이 이어지며 결론을 내지 못했던 동학농민혁명의 국가 기념일이 전주화약일로 잠정 결정됐습니다.
하지만, 전주화약이 역사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어 진통이 예상됩니다.
백도인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전국의 동학 단체들은 최근 동학농민혁명의 국가 기념일로 전주화약일인 양력 6월 11일을 결정했습니다.
ADVERTISEMENT
투표에 참여한 20개 단체 가운데 13개가 찬성표를 던졌습니다.
전주화약일은 전주성을 점령한 농민군이 조선 정부와 폐정개혁안에 합의한 날입니다.
<이병규 /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연구조사부장> "전주화약은 조선정부가 동학 농민군을 공식적으로 인정한 날이고 또 그 결과물로 폐정개혁안과 집강소까지 이어져서 이것이 동학농민혁명 과정에서 가장 큰 성과물 중의 하나고…"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은 정부와의 협의를 거쳐 내년 4월까지는 기념일 제정작업을 마무리할 계획입니다.
이렇게 되면 2004년 이후 10년이 넘도록 이어져온 논쟁이 드디어 마침표를 찍게 됩니다.
하지만, 일부에서 법적 투쟁까지 불사하겠다며 반발하고 있어 결과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
전주화약이 실제 맺어졌는지가 명확하지 않고 체결 날짜도 기록에 전혀 없다는 이유 때문입니다.
<서현중 / 갑오동학혁명유적보존회 이사장> "저희들은 결사반대하죠. 전주화약일이라는 것은 우리 농민군만 해산시켜놓고 자기(정부)들은 자기들 일대로 해버린 거죠. 그러니까 의미가 없는 날이죠."
전북 정읍시를 비롯한 자치단체들이 당시 회의와 투표의 적법성을 문제 삼고 있는 점도 변수입니다.
각종 이해관계가 얽히면서 10년이 넘도록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동학 기념일 제정이 이번에는 어떻게 결론날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 백도인입니다.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