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한명숙 의원 징역 2년 확정…정치적 파장은?
<출연 : 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새정치민주연합 전 대변인 박용진>
내년 총선을 앞둔 여야의 움직임이 분주한 가운데, 오늘 박근혜 대통령의 방중이 확정됐습니다.
세부 일정 조율을 두고 다양한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요.
황장수 미래경영연구소장, 박용진 새정치민주연합 전 대변인, 두 분 모시고 자세한 얘기 나눠 보겠습니다.
<질문 1> 청와대에서 발표한 내용만 보면, 전승절 행사에는 참석하되 열병식 참석 여부는 미정이라는 건데요. 열병식 참여에 유독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유는 어디에 있습니까?
<질문 2> 일본의 아베 총리, 그리고 북한 김정은 제1위원장의 참석 여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는데요. 현재 가장 첨예한 외교 사안이 바로 한일문제, 대북문제 아니겠습니까? 정상회담 성사도 기대해볼 만하다고 보십니까?
<질문 3> 사흘 전이죠,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가 박 대통령의 전승절 행사 참석을 강력하게 권유하지 않았습니까? 전승절 행사 이후 상해 임시정부 청사 개관식에 참석하는 일정도 그렇고, 청와대 측에서 야당 측 코멘트에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는 인상도 있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4> 화제를 좀 바꿔서, 여야가 오늘 선거구 획정기준안을 발표했습니다. 지역구 분할 원칙에 예외가 될 수밖에 없는 선거구들이 몇몇 있어서, 그간 합의가 미뤄져 왔는데요. 더 이상 논란이 없을 것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5> 여권에서는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당론 분열 움직임이 감지됩니다. 오늘 비박계 정병국 의원이 지원사격을 나선 데 이어서, 김무성 대표가 또 한 번 '정치생명'을 걸었는데요. 회의론을 계파분열로만 몰아가는 것은 부당하다는 코멘트도 나왔습니다. 여러모로 논쟁적인 지점들이 많은 게 사실인데요, 두 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 공천을 둘러싼 긴장감이 도는 것은 야당도 마찬가지인데요. 새정치연합 혁신위에서 내놓은 8차 혁신안, 공직평가에 따라서 현직 위원 중 하위 20%는 공천을 주지 않겠다는 '물갈이' 방침을 내놨습니다. 새누리당 오픈프라이머리 방침에 대해서는, 적절한 대응책이 될 것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7> 새정치민주연합이 주장하고 있는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대해서도, 다소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본의가 지역주의 해소에 있는데, 기왕에 지역구 의원 수를 줄이지 않는 한, 별다른 실효성이 없다는 겁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8> 정치개혁, 노동개혁 문제로 여야가 첨예하게 맞붙는 상황이지만, 사실 국민 여론은 별로 좋지 않은 게 사실이죠. 당장 국회윤리 특위에 회부된 징계안 38건 중에 단 한 건도 의결되지 않았다는 점이 재부각되고 있습니다. 실질적인 개선책이 필요하지 않겠습니까?
<질문 9> 끝으로, 오늘 한명숙 의원에 대한 대법원 최종선고가 내려졌습니다. 재판결과를 두고 여야 간 설전이 오갔는데요. 야권이 제기하고 있는 검찰 표적수사나 야당탄압 의혹, 타당하다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출연 : 미래경영연구소 황장수 소장·새정치민주연합 전 대변인 박용진>
ADVERTISEMENT
내년 총선을 앞둔 여야의 움직임이 분주한 가운데, 오늘 박근혜 대통령의 방중이 확정됐습니다.
세부 일정 조율을 두고 다양한 전망이 나오고 있는데요.
황장수 미래경영연구소장, 박용진 새정치민주연합 전 대변인, 두 분 모시고 자세한 얘기 나눠 보겠습니다.
ADVERTISEMENT
<질문 1> 청와대에서 발표한 내용만 보면, 전승절 행사에는 참석하되 열병식 참석 여부는 미정이라는 건데요. 열병식 참여에 유독 관심이 집중되고 있습니다. 이유는 어디에 있습니까?
<질문 2> 일본의 아베 총리, 그리고 북한 김정은 제1위원장의 참석 여부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는데요. 현재 가장 첨예한 외교 사안이 바로 한일문제, 대북문제 아니겠습니까? 정상회담 성사도 기대해볼 만하다고 보십니까?
<질문 3> 사흘 전이죠, 새정치연합 문재인 대표가 박 대통령의 전승절 행사 참석을 강력하게 권유하지 않았습니까? 전승절 행사 이후 상해 임시정부 청사 개관식에 참석하는 일정도 그렇고, 청와대 측에서 야당 측 코멘트에 발 빠르게 대처하고 있다는 인상도 있는데요.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4> 화제를 좀 바꿔서, 여야가 오늘 선거구 획정기준안을 발표했습니다. 지역구 분할 원칙에 예외가 될 수밖에 없는 선거구들이 몇몇 있어서, 그간 합의가 미뤄져 왔는데요. 더 이상 논란이 없을 것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5> 여권에서는 오픈프라이머리에 대한 당론 분열 움직임이 감지됩니다. 오늘 비박계 정병국 의원이 지원사격을 나선 데 이어서, 김무성 대표가 또 한 번 '정치생명'을 걸었는데요. 회의론을 계파분열로만 몰아가는 것은 부당하다는 코멘트도 나왔습니다. 여러모로 논쟁적인 지점들이 많은 게 사실인데요, 두 분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 공천을 둘러싼 긴장감이 도는 것은 야당도 마찬가지인데요. 새정치연합 혁신위에서 내놓은 8차 혁신안, 공직평가에 따라서 현직 위원 중 하위 20%는 공천을 주지 않겠다는 '물갈이' 방침을 내놨습니다. 새누리당 오픈프라이머리 방침에 대해서는, 적절한 대응책이 될 것이라고 보십니까?
<질문 7> 새정치민주연합이 주장하고 있는 권역별 비례대표제에 대해서도, 다소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본의가 지역주의 해소에 있는데, 기왕에 지역구 의원 수를 줄이지 않는 한, 별다른 실효성이 없다는 겁니다. 여기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십니까?
ADVERTISEMENT
<질문 8> 정치개혁, 노동개혁 문제로 여야가 첨예하게 맞붙는 상황이지만, 사실 국민 여론은 별로 좋지 않은 게 사실이죠. 당장 국회윤리 특위에 회부된 징계안 38건 중에 단 한 건도 의결되지 않았다는 점이 재부각되고 있습니다. 실질적인 개선책이 필요하지 않겠습니까?
<질문 9> 끝으로, 오늘 한명숙 의원에 대한 대법원 최종선고가 내려졌습니다. 재판결과를 두고 여야 간 설전이 오갔는데요. 야권이 제기하고 있는 검찰 표적수사나 야당탄압 의혹, 타당하다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제보:02-398-4409,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