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뉴스1번지] 靑 강조한 '국제의료지원사원법'…취지는?

<출연 :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

ADVERTISEMENT


오늘 청와대에서는 박대통령이 참석한 가운데 제11차 사회보장위원회가 열렸습니다.

복지 관련 현안들이 국회에 산적해 있는 상황에서 관련 현안에 대한 궁금증이 큰데요.

핵심적인 내용과 앞으로의 전망, 정진엽 보건복지부 장관에게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ADVERTISEMENT


<질문 1> 앞서 말씀 드린대로 사회보장위원회가 오늘 개최가 됐습니다. 사회보장사업에 관련해서는 최고 의사결정기구라고 할 수 있는데, 장관님께서 직접 사회보장위원회 기능강화방안을 발표하셨다고 들었습니다. 잠깐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질문 2> 현안들에 관해서도 여쭤볼 것이 많습니다. 일단 서울시에서 추진하고 있는 청년활동 지원 사업이나 성남시의 무상공공산후조리원 등이 꽤 화제가 되고 있죠. 여기에 관해서 복지부 입장을 좀 들어봐야 할 것 같은데요. 지차체가 복지정책을 새로 만들고 시행하는 것, 문제가 있다고 보시는 거죠? 정부부처의 입장에서는 어떤 방향을 취하고 계신 겁니까?

<질문 3> 결국 중요한 것은 주무부처로서 어디에 집중하고, 구체적인 안건을 만들어낼 것이냐. 이 부분에 달려 있을 것 같은데요. 앞으로는 어떤 안건들에 중점을 두고 계십니까?

<질문 4> 요즘 정치권 최대 화두는 청년일자리인데요. 어제 박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국제의료지원사업법을 특별히 언급했죠. 복지부에서도 준비를 많이 하셨겠지만, 생명에 직결된 의료법 문제를 당장 효과가 큰 부가가치 차원에서만 접근하는 것이 안전하겠느냐는 우려도 있는 것 같은데요.

<질문 5> 당장 외국인 환자 유치에 따른 경쟁이 과도해지거나, 불법 성형 같은 문제들이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오는데,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 또 하나 관심이 많은 대목이 국민연금입니다. 일단 기금 수익률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오랫동안 나오고 있는데요. 구체적인 대책이 필요하지 않겠습니까?

<질문 7> 우리나라의 공적연금 체계, 과연 실효적인 것인가에 대한 근본적 의문이 있는 것 같습니다. 현재 관련해서 국회에 공적연금 강화 특위가 꾸려져 있죠. 다소 지지부진하다는 비판이 있는 것으로 아는데,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

ADVERTISEMENT


<질문 8> 마지막으로 보육 문제에 관해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현재 추진하고 있는 맞춤형 보육에 대해서 역차별 논란이 큰 것 같은데요. 이 부분에 대해서 적절한 해명이 필요해 보입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yjebo@yna.co.kr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