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포커스] 총선 D-9…110곳 혼전
<출연: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ㆍ김우석 미래전략개발연구소 부소장ㆍ김광덕 데일리한국 뉴스본부장ㆍ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
4.13 총선이 어느덧 중반전으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오늘부터 투표용지 인쇄에 들어가기 때문에 야권후보 단일화는 사실상 물건너 갔습니다.
초접전 지역이 밀집한 수도권의 여야 승패에 커다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총선 판세에 중대 분수령이 될 이번주 기상도를 전문가들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오늘은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 김우석 미래전략개발연구소 부소장, 김광덕 데일리한국 뉴스본부장, 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 네 분과 함께하겠습니다.
<질문 1> 전국 253개 지역구 판세가 점쳐지고 있습니다. 각 당이 우세라고 생각하는 숫자는 82:35:20으로 나타났는데요. 그동안 여론조사 결과 등으로 살펴보면 야권분열 영향으로 새누리당 우세지역이 더 많다는 조사도 있는데요?
<질문 2> 공식적으로 오늘부터 투표용지 인쇄가 시작되면서 사실상 더민주는 단일화에서 손을 떼는 분위기입니다. 광주와 전남에서는 전패 위기감도 커지고 있는데요. 데드라인 넘긴 야 후보 단일화, 전패 위기감. 그래도 막판까지 후보별 협상은 지원을 하겠다는 입장이죠?
<질문 3> 야권후보단일화 성사여부에 따라 몇석 정도가 왔다갔다 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4> 더민주 입장에서는 당초 김종인 대표가 선거 승패의 기준으로 제시했던 107석 유지도 사실상 쉽지 않은데요. 수도권 경합지역 58곳 결과가 성패를 좌우할 것 같은데요?
<질문 5> 수도권에서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는 새누리당으로서도 안심할 수만 있는 상황이 아니잖아요? 수도권에서만 지난주 대비 8%포인트가 빠졌는데요.
<질문 6> 유권자 가운데 60대 이상이 2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결과도 나왔는데요. 그동안 보수정당 지지율이 높았다는 점에서 전문가들은 "새누리당에 유리하다"는 분석인데요?
<질문 7> 아직까지 부동층이 25% 안팎으로 나오고 있거든요? 부동층 표심은 어디로 향할까요?
<질문 8> 재미있는 사진이 있어서 준비해 봤는데요. 주말사이 제주 '4·3 추념식'에 각 정당 대표들이 모였는데요. 나란히 박 대통령 캠프에서 일한 분들 아닌가요?
<질문 9> 대구지역에서 더민주 김부겸 후보를 쫓고 있는 새누리당 김문수 후보 사진도 있던데요. 노태우 전 대통령의 딸이죠? 노소영 씨가 지지에 나섰던데, 어떤 인연인가요?
<질문 10> 총선이 9일 남았지만, 사실상 아직까지 여야 각당의 뚜렷한 공약을 알기 어려운데요. 새누리당이 '대한민국과의 약속'이라면서 오늘 조간신문에 광고를 실었습니다. 5대 개혁과제를 정하고 1년 안에 못 지킬 경우 세비를 반납한다는 건데요? 새롭네요?
<질문 11> 약속 내용은 "갑을개혁, 일자리규제개혁, 청년독립, 4050자유학기제, 마더센터 5대 공약에 대한 법안 발의"인데요. 계약서 내용으로는 부족한 것 아닌가요? '선거구호'에 그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는데요?
<질문 12> 새누리당이나 더민주나 텃밭 표심이 심상치 않다는 얘기 꾸준히 나왔는데요. 그래서인지 김무성 대표가 부산으로 달려갔는데요. 대구경북선대본부 최경환 위원장까지 동행했더라고요? 화합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라는 해석인데요.
<질문 13> 김무성 대표가 부산에서 "더 큰 정치를 하겠다"는 말을 했던데요. 대선 도전을 암시하는 말이란 해석이 있지 않습니까?
<질문 14> 그래서 그런지, 야권 대선후보 1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 문재인 더민주 전 대표를 향해 "야당을 분당시켜 놓고 김종인 대표 뒤에 숨어있다"고 말했는데, 김종인 대표에게도 '김 영감님'이라고 했더라고요. 품격있는 표현 같지는 않은데요.
<질문 15> 더민주를 향해 또 '종북세력' 책임을 따지면서, "국민의당은 종북세력 아니다"라면서 어쩌면 '인증'을 해 준건데요. 지난번 새누리당 SNS를 통해 안철수 대표를 '응원'했던 것과 같은, 야권연대에 응하지 말라는 의도겠죠?
<질문 16> 김종인 대표가 문재인 전 대표의 선거운동을 자꾸 말리고 있네요? "유세 다닐 수록 호남민심 멀어진다"는 건데요. 도대체 문 대표를 향한 호남의 거부감, 어디서 잘못됐기에 이토록 뿌리 깊은 건가요?
<질문 16> 문 전 대표가 대권을 생각하고 있다면, 호남을 그냥 '나몰라라'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잖아요? 김종인 대표 입장에서 문 전 대표를 대권주자로 생각하지 않는 걸까요? 아니면 직접 대권도전 꿈꾼다는 가능성에 스스로 힘을 싣는 건가요?
<질문 17> 광주 북갑에 출마한 정준호 후보는 문재인 전 대표에게 대선 불출마를 요구했거든요? 문성근 전 최고위원은 '광주의 조경태'라고 했다던데요.
<질문 18> 문재인 전 대표가 영입해 광주 서을에 출마한 양향자 후보도 홍보동영상에서 문 전 대표가 나오는 격려 영상을 자르라고까지 했다는데요.
<질문 19> 이런 가운데,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주말 내내 호남에서 머물면서 '호남사위'를 자처하고 나섰네요? 부인 김미경씨 고향이 여수죠? 20석을 넘어 호남 28석 석권이 목표라고까지 하는데요?
<질문 20> 국민의당이 호남지역에서 선전하는 것은 국민의당에는 양날의 칼이 될거 같아요. 호남맹주로 자리매김한다는 측면이 있지만, 새누리당의 견제할 제1야당의 입지를 축소할 거라는 점에선 야권분열 책임 또는 '새누리당의 X맨'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할 거 같은데요
<질문 21> 국민의당 권은희 후보의 포스터가 논란입니다. '태양의 후예' 이미지를 차용한 건데요. 논란이 되면서 삭제하긴 했네요?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 김우석 미래전략개발연구소 부소장, 김광덕 데일리한국 뉴스본부장, 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와 함께했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ㆍ김우석 미래전략개발연구소 부소장ㆍ김광덕 데일리한국 뉴스본부장ㆍ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
ADVERTISEMENT
4.13 총선이 어느덧 중반전으로 접어들고 있습니다.
오늘부터 투표용지 인쇄에 들어가기 때문에 야권후보 단일화는 사실상 물건너 갔습니다.
초접전 지역이 밀집한 수도권의 여야 승패에 커다란 변수로 작용할 것으로 보입니다.
ADVERTISEMENT
총선 판세에 중대 분수령이 될 이번주 기상도를 전문가들과 함께 짚어보겠습니다.
오늘은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 김우석 미래전략개발연구소 부소장, 김광덕 데일리한국 뉴스본부장, 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 네 분과 함께하겠습니다.
<질문 1> 전국 253개 지역구 판세가 점쳐지고 있습니다. 각 당이 우세라고 생각하는 숫자는 82:35:20으로 나타났는데요. 그동안 여론조사 결과 등으로 살펴보면 야권분열 영향으로 새누리당 우세지역이 더 많다는 조사도 있는데요?
<질문 2> 공식적으로 오늘부터 투표용지 인쇄가 시작되면서 사실상 더민주는 단일화에서 손을 떼는 분위기입니다. 광주와 전남에서는 전패 위기감도 커지고 있는데요. 데드라인 넘긴 야 후보 단일화, 전패 위기감. 그래도 막판까지 후보별 협상은 지원을 하겠다는 입장이죠?
<질문 3> 야권후보단일화 성사여부에 따라 몇석 정도가 왔다갔다 할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4> 더민주 입장에서는 당초 김종인 대표가 선거 승패의 기준으로 제시했던 107석 유지도 사실상 쉽지 않은데요. 수도권 경합지역 58곳 결과가 성패를 좌우할 것 같은데요?
<질문 5> 수도권에서 지지율이 하락하고 있는 새누리당으로서도 안심할 수만 있는 상황이 아니잖아요? 수도권에서만 지난주 대비 8%포인트가 빠졌는데요.
ADVERTISEMENT
<질문 6> 유권자 가운데 60대 이상이 2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는 결과도 나왔는데요. 그동안 보수정당 지지율이 높았다는 점에서 전문가들은 "새누리당에 유리하다"는 분석인데요?
<질문 7> 아직까지 부동층이 25% 안팎으로 나오고 있거든요? 부동층 표심은 어디로 향할까요?
<질문 8> 재미있는 사진이 있어서 준비해 봤는데요. 주말사이 제주 '4·3 추념식'에 각 정당 대표들이 모였는데요. 나란히 박 대통령 캠프에서 일한 분들 아닌가요?
<질문 9> 대구지역에서 더민주 김부겸 후보를 쫓고 있는 새누리당 김문수 후보 사진도 있던데요. 노태우 전 대통령의 딸이죠? 노소영 씨가 지지에 나섰던데, 어떤 인연인가요?
<질문 10> 총선이 9일 남았지만, 사실상 아직까지 여야 각당의 뚜렷한 공약을 알기 어려운데요. 새누리당이 '대한민국과의 약속'이라면서 오늘 조간신문에 광고를 실었습니다. 5대 개혁과제를 정하고 1년 안에 못 지킬 경우 세비를 반납한다는 건데요? 새롭네요?
<질문 11> 약속 내용은 "갑을개혁, 일자리규제개혁, 청년독립, 4050자유학기제, 마더센터 5대 공약에 대한 법안 발의"인데요. 계약서 내용으로는 부족한 것 아닌가요? '선거구호'에 그치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드는데요?
<질문 12> 새누리당이나 더민주나 텃밭 표심이 심상치 않다는 얘기 꾸준히 나왔는데요. 그래서인지 김무성 대표가 부산으로 달려갔는데요. 대구경북선대본부 최경환 위원장까지 동행했더라고요? 화합하는 모습을 보여주기 위해서라는 해석인데요.
<질문 13> 김무성 대표가 부산에서 "더 큰 정치를 하겠다"는 말을 했던데요. 대선 도전을 암시하는 말이란 해석이 있지 않습니까?
<질문 14> 그래서 그런지, 야권 대선후보 1위에 이름을 올리고 있는 문재인 더민주 전 대표를 향해 "야당을 분당시켜 놓고 김종인 대표 뒤에 숨어있다"고 말했는데, 김종인 대표에게도 '김 영감님'이라고 했더라고요. 품격있는 표현 같지는 않은데요.
<질문 15> 더민주를 향해 또 '종북세력' 책임을 따지면서, "국민의당은 종북세력 아니다"라면서 어쩌면 '인증'을 해 준건데요. 지난번 새누리당 SNS를 통해 안철수 대표를 '응원'했던 것과 같은, 야권연대에 응하지 말라는 의도겠죠?
<질문 16> 김종인 대표가 문재인 전 대표의 선거운동을 자꾸 말리고 있네요? "유세 다닐 수록 호남민심 멀어진다"는 건데요. 도대체 문 대표를 향한 호남의 거부감, 어디서 잘못됐기에 이토록 뿌리 깊은 건가요?
<질문 16> 문 전 대표가 대권을 생각하고 있다면, 호남을 그냥 '나몰라라'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잖아요? 김종인 대표 입장에서 문 전 대표를 대권주자로 생각하지 않는 걸까요? 아니면 직접 대권도전 꿈꾼다는 가능성에 스스로 힘을 싣는 건가요?
<질문 17> 광주 북갑에 출마한 정준호 후보는 문재인 전 대표에게 대선 불출마를 요구했거든요? 문성근 전 최고위원은 '광주의 조경태'라고 했다던데요.
<질문 18> 문재인 전 대표가 영입해 광주 서을에 출마한 양향자 후보도 홍보동영상에서 문 전 대표가 나오는 격려 영상을 자르라고까지 했다는데요.
<질문 19> 이런 가운데,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는 주말 내내 호남에서 머물면서 '호남사위'를 자처하고 나섰네요? 부인 김미경씨 고향이 여수죠? 20석을 넘어 호남 28석 석권이 목표라고까지 하는데요?
<질문 20> 국민의당이 호남지역에서 선전하는 것은 국민의당에는 양날의 칼이 될거 같아요. 호남맹주로 자리매김한다는 측면이 있지만, 새누리당의 견제할 제1야당의 입지를 축소할 거라는 점에선 야권분열 책임 또는 '새누리당의 X맨'이라는 비판에서 자유롭지 못할 거 같은데요
<질문 21> 국민의당 권은희 후보의 포스터가 논란입니다. '태양의 후예' 이미지를 차용한 건데요. 논란이 되면서 삭제하긴 했네요?
고영신 한양대 특임교수, 김우석 미래전략개발연구소 부소장, 김광덕 데일리한국 뉴스본부장, 김홍국 경기대 겸임교수와 함께했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