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행ㆍ굶주림 시달리던 北여군…중국으로 탈출해도 생지옥
[연합뉴스20]
[앵커]
북한에서 군은 그나마 먹고 살만한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배고픔을 피해 들어간 군에서 여성들은 남자 군인들보다 적은 식량 배급에 고된 노동, 심지어 성폭행에 시달려야 했다는 증언이 나왔습니다.
박현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북한을 탈출한 여군 출신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군의 경험은 이들에게 기억하고 싶지 않은 악몽.
여군을 상대로 한 고위 간부들의 성추문이 끊이지 않았지만 고충 처리는커녕 강제 전역시켰다는 증언이 잇따랐습니다.
<마영애 / 북한군 예술선전대 출신> "매일같이 여성들을 성폭행하고 그들이 임신하면 방어책으로 그들의 입을 틀어 막기 위해서 김일성 명함 시계를 줘서…"
여군들은 원산-함흥 고속도로나 마식령 스키장 건설에도 동원됐습니다.
속도전이란 명목으로 남성과 마찬가지로 고된 노동에 시달렸는데, 제일 견디기 힘들었던 것은 굶주림이었습니다.
<최수향 / 북한군 여군 출신> "(하루 배급량이) 800g이라고 하면 감자나 고구마 부식물을 식량으로 대체에서 공급했었고요. 군관들이 현지에서 쌀접수를 하게 되는데요. 쌀을 다 빼돌리고…"
<이소연 / 뉴코리아여성연합 대표> "영양실조 환자들은 계속 늘고 있으며 탈영에 무단외출에 군사복무를 아예 포기한채 잠적해 버리는 군인도 늘고…"
이들은 북한을 탈출해 어렵게 도착한 중국 땅에서도 인신매매 등의 또다른 지옥을 경험했다며, 엄마로 살 수 없었던 중국에서 자신이 낳은 자녀를 찾을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연합뉴스TV 박현우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연합뉴스20]
ADVERTISEMENT
[앵커]
북한에서 군은 그나마 먹고 살만한 곳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배고픔을 피해 들어간 군에서 여성들은 남자 군인들보다 적은 식량 배급에 고된 노동, 심지어 성폭행에 시달려야 했다는 증언이 나왔습니다.
ADVERTISEMENT
박현우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북한을 탈출한 여군 출신들이 한자리에 모였습니다.
군의 경험은 이들에게 기억하고 싶지 않은 악몽.
여군을 상대로 한 고위 간부들의 성추문이 끊이지 않았지만 고충 처리는커녕 강제 전역시켰다는 증언이 잇따랐습니다.
<마영애 / 북한군 예술선전대 출신> "매일같이 여성들을 성폭행하고 그들이 임신하면 방어책으로 그들의 입을 틀어 막기 위해서 김일성 명함 시계를 줘서…"
여군들은 원산-함흥 고속도로나 마식령 스키장 건설에도 동원됐습니다.
ADVERTISEMENT
속도전이란 명목으로 남성과 마찬가지로 고된 노동에 시달렸는데, 제일 견디기 힘들었던 것은 굶주림이었습니다.
<최수향 / 북한군 여군 출신> "(하루 배급량이) 800g이라고 하면 감자나 고구마 부식물을 식량으로 대체에서 공급했었고요. 군관들이 현지에서 쌀접수를 하게 되는데요. 쌀을 다 빼돌리고…"
<이소연 / 뉴코리아여성연합 대표> "영양실조 환자들은 계속 늘고 있으며 탈영에 무단외출에 군사복무를 아예 포기한채 잠적해 버리는 군인도 늘고…"
이들은 북한을 탈출해 어렵게 도착한 중국 땅에서도 인신매매 등의 또다른 지옥을 경험했다며, 엄마로 살 수 없었던 중국에서 자신이 낳은 자녀를 찾을 수 있도록 정부가 나서달라고 호소했습니다.
연합뉴스TV 박현우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