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추석 민심' 청취한 여야…민심 공방
<출연 : 건국대 장성호 교수ㆍ계명대 김관옥 교수>
추석 이후 여야의 대권 시계가 더욱 빨라지고 있습니다.
이번 추석 밥상을 달군 차기 대권 주자들의 행보와 이에 따른 민심, 집중 분석해 보겠습니다.
장성호 건국대 교수, 김관옥 계명대 교수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1> 여야가 추석 연휴 기간 어수선한 민심을 체감했다고 한 목소리로 전한 가운데 새누리당은 민생안정 책임이 정치권에 있다고 지적했고 더민주는 정부에 국정운영 쇄신을 촉구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2> 추석 연휴기간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 나홀로 민생행보를 이어갔습니다. 오늘 경주 지진과 관련해 긴급 당정회의를 갖기도 했는데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3>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오늘 민주당 김민석 대표와 만나서 통합을 선언했습니다. 추 대표, 집 나간 며느리를 돌아오게 하는 전어 역할을 하겠다고 했는데 이번 통합의 배경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4> 이번에는 대권 잠룡들 이야기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여권의 잠룡인 김무성 전 대표와 남경필 경기지사, 원희룡 제주지사가 안전 대책을 강조했는데 역시 민심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봐야겠죠?
<질문 5> 문재인 전 대표도 연휴기간 경주를 찾았습니다. PK지역에 확고한 세를 구축하겠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오는데 어떻게 보셨습니까?
<질문 6> 국민의당 김관영 원내수석 부대표가 오늘 국회 기자회견에서 호남민심은 안철수 전 대표로 고정된 대선후보보다 역동성이 있는 판을 벌이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습니다. 배경을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7> 제3지대론 시나리오가 유력하게 나돌고 있습니다. 얼마 전 정의화 전 의장과 손학규 전 고문 회동도 있었고요. 개헌을 고리로 한 새판짜기 가능성 있다고 보십니까?
<질문 8> 안철수 전 대표 그간 손학규 고문 등 여러 잠룡에게 러브콜을 보내왔는데요. 개헌을 고리로 한 제3지대론의 상수가 될 수 있을지도 관심이죠?
<질문 9> 추석 연휴가 마무리되면서 국회는 첫 국정감사 준비에 본격 돌입했습니다. 핵심 이슈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각 당 북핵, 사드 등 굵직한 이슈에 어떤 전략 들고 나올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질문 10> 여야 3당 대표가 미국에서 제대로 된 팀플레이를 보여줬습니다. 외교 득실에 눈길이 쏠리는데요.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11> 그러나 앞으로 사드 등 민감한 현안이 줄줄이 쌓여있습니다. 협치 모드 이어질 수 있을까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건국대 장성호 교수ㆍ계명대 김관옥 교수>
ADVERTISEMENT
추석 이후 여야의 대권 시계가 더욱 빨라지고 있습니다.
이번 추석 밥상을 달군 차기 대권 주자들의 행보와 이에 따른 민심, 집중 분석해 보겠습니다.
장성호 건국대 교수, 김관옥 계명대 교수와 자세히 짚어보겠습니다.
ADVERTISEMENT
<질문 1> 여야가 추석 연휴 기간 어수선한 민심을 체감했다고 한 목소리로 전한 가운데 새누리당은 민생안정 책임이 정치권에 있다고 지적했고 더민주는 정부에 국정운영 쇄신을 촉구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2> 추석 연휴기간 새누리당 이정현 대표, 나홀로 민생행보를 이어갔습니다. 오늘 경주 지진과 관련해 긴급 당정회의를 갖기도 했는데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3> 더불어민주당 추미애 대표는 오늘 민주당 김민석 대표와 만나서 통합을 선언했습니다. 추 대표, 집 나간 며느리를 돌아오게 하는 전어 역할을 하겠다고 했는데 이번 통합의 배경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4> 이번에는 대권 잠룡들 이야기로 넘어가 보겠습니다. 여권의 잠룡인 김무성 전 대표와 남경필 경기지사, 원희룡 제주지사가 안전 대책을 강조했는데 역시 민심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봐야겠죠?
<질문 5> 문재인 전 대표도 연휴기간 경주를 찾았습니다. PK지역에 확고한 세를 구축하겠다는 의도라는 해석이 나오는데 어떻게 보셨습니까?
<질문 6> 국민의당 김관영 원내수석 부대표가 오늘 국회 기자회견에서 호남민심은 안철수 전 대표로 고정된 대선후보보다 역동성이 있는 판을 벌이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말했습니다. 배경을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7> 제3지대론 시나리오가 유력하게 나돌고 있습니다. 얼마 전 정의화 전 의장과 손학규 전 고문 회동도 있었고요. 개헌을 고리로 한 새판짜기 가능성 있다고 보십니까?
ADVERTISEMENT
<질문 8> 안철수 전 대표 그간 손학규 고문 등 여러 잠룡에게 러브콜을 보내왔는데요. 개헌을 고리로 한 제3지대론의 상수가 될 수 있을지도 관심이죠?
<질문 9> 추석 연휴가 마무리되면서 국회는 첫 국정감사 준비에 본격 돌입했습니다. 핵심 이슈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각 당 북핵, 사드 등 굵직한 이슈에 어떤 전략 들고 나올 것으로 예상하십니까?
<질문 10> 여야 3당 대표가 미국에서 제대로 된 팀플레이를 보여줬습니다. 외교 득실에 눈길이 쏠리는데요. 어떻게 평가하십니까?
<질문 11> 그러나 앞으로 사드 등 민감한 현안이 줄줄이 쌓여있습니다. 협치 모드 이어질 수 있을까요?
연합뉴스TV : 02-398-4409(제보) 4441(기사문의),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