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보호 좌회전하다 과속 직진차량과 충돌…과실비율은?
[앵커]
교차로에서 비보호 좌회전을 하던 차량이 마주오던 직진차량과 부딪쳐 사고가 났다면 통상 좌회전 차량의 과실이 훨씬 큽니다.
하지만 직진 차량이 과속을 했다면 상황을 달리 봐야 한다는 재판부 판단이 나왔습니다.
김민혜 기자입니다.
[기자]
A씨는 1년 전 교차로에서 비보호 좌회전을 하다 마주오던 B씨 차량과 충돌했습니다.
사고 당시 B씨는 제한속도 60km를 넘겨 약 100km로 과속한 상태였습니다.
A씨의 보험사는 B씨가 교차로 통과 전 속도를 줄이지 않고 직진하다 사고가 났기 때문에 B씨 과실이 더 크다고 주장했지만,
B씨 측은 B씨가 교차로 진입 직전에 좌회전 시도를 인지한만큼 제한 속도로 운전했어도 사고는 났을 것이라며 책임은 100% A씨에게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법원은 비보호 좌회전이 허용되는 교차로에서는 직진차량이 우선이므로 B씨가 서행할 의무는 없다고 전제했습니다.
그러나 B씨가 과속을 했다는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재판부는 B씨 측 주장대로 A씨가 좌회전 하려는 것을 30여 미터 앞에서야 알았다 하더라도 제한속도를 지켰다면 사고를 막을 수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사고 당시 날씨가 맑고 시야장해 요소가 없던 점, 과속하며 전방주시를 게을리 했을 가능성이 충분한 점 등을 고려하면 일반 직진차량과는 달리 상당한 과실이 있다고 봐야 한다며 B씨에게 40%의 책임을 물었습니다.
이번 소송은 판결문을 받은 날로부터 2주 이내에 양측이 항소하지 않아 1심에서 확정됐습니다.
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앵커]
ADVERTISEMENT
교차로에서 비보호 좌회전을 하던 차량이 마주오던 직진차량과 부딪쳐 사고가 났다면 통상 좌회전 차량의 과실이 훨씬 큽니다.
하지만 직진 차량이 과속을 했다면 상황을 달리 봐야 한다는 재판부 판단이 나왔습니다.
김민혜 기자입니다.
[기자]
A씨는 1년 전 교차로에서 비보호 좌회전을 하다 마주오던 B씨 차량과 충돌했습니다.
사고 당시 B씨는 제한속도 60km를 넘겨 약 100km로 과속한 상태였습니다.
ADVERTISEMENT
A씨의 보험사는 B씨가 교차로 통과 전 속도를 줄이지 않고 직진하다 사고가 났기 때문에 B씨 과실이 더 크다고 주장했지만,
B씨 측은 B씨가 교차로 진입 직전에 좌회전 시도를 인지한만큼 제한 속도로 운전했어도 사고는 났을 것이라며 책임은 100% A씨에게 있다고 반박했습니다.
법원은 비보호 좌회전이 허용되는 교차로에서는 직진차량이 우선이므로 B씨가 서행할 의무는 없다고 전제했습니다.
그러나 B씨가 과속을 했다는 사실에 주목했습니다.
재판부는 B씨 측 주장대로 A씨가 좌회전 하려는 것을 30여 미터 앞에서야 알았다 하더라도 제한속도를 지켰다면 사고를 막을 수도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고 지적했습니다.
또 사고 당시 날씨가 맑고 시야장해 요소가 없던 점, 과속하며 전방주시를 게을리 했을 가능성이 충분한 점 등을 고려하면 일반 직진차량과는 달리 상당한 과실이 있다고 봐야 한다며 B씨에게 40%의 책임을 물었습니다.
이번 소송은 판결문을 받은 날로부터 2주 이내에 양측이 항소하지 않아 1심에서 확정됐습니다.
연합뉴스TV 김민혜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