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개헌 논의 '탄력'…내일부터 전국 순회 국민대토론회
<출연 : 김상겸 동국대 법과대 교수>
국회가 내년 6월 헌법개정을 목표로 바쁜 걸음을 내달리고 있습니다.
국회 개헌특위는 내일부터 전국 열한 곳에서 헌법개정을 위한 대토론회를 열고 본격적인 국민 의견 수렴에 나설 예정입니다.
과연 30년만의 개헌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을지 김상겸 동국대 법과대 교수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내일 부산을 시작으로 전국 11개 지역에서 헌법개정 국민토론회가 열립니다. 먼저 개헌의 의미와 절차를 간단히 정리해 주시죠.
<질문 2> 이번 개헌은 87년 이후 30년만에 개헌 추진인데, 내년 6월 지방선거와 함께 개헌을 하겠다는 게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입니다. 과거 정권에서도 여러차례 개헌 논의가 있었는데 번번이 좌절됐습니다. 여야가 개헌 취지에는 공감을 하고 있지만 개헌 방향과 실질적 내용을 두고는 이견이 있습니다. 이번엔 가능할 것으로 보시는지요.
<질문 3> 개헌 국민투표를 지방선거와 같이 한 사례가 있나요.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건가요. 장단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질문 4> 현재 국회 정개특위에서 개헌을 주도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문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념 기자회견에서 "개헌특위에서 충분히 국민 주권적 개헌 방안이 마련되지 않거나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정부가 국회 개헌특위의 논의 사항을 이어받아서 국회와 협의하면서 자체적으로 특위를 만들 수 있다"고 밝혀 논란이 됐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어떻게 보세요. 정부에서 추진하는 것과 국회에서 추진하는 것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질문 5> 이번 개헌의 핵심 내용은 정부형태를 바꾸는 것인데요. 제왕적 대통령제라는 비판을 받은 권력구조를 개편하자는 것입니다. 이것은 또 대통령의 중임 여부와도 맞물려 있습니다. 정치권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는데, 현행 제도의 부작용을 줄일 수 정부형태가 선택될 수 있을까요.
<질문 6> 정부형태 뿐 아니라 5·18 정신의 헌법 포함 여부, 선거구제 개편 등 민감한 현안에 대해서는 여야 입장이 다릅니다. 지금 상황으로 보면 개헌안에 모든 걸 다 담을 수는 없을 듯 한데요?
<질문 7> 권력구조 개편 외에 성평등, 외국인의 기본권 보장 등 인권과 관련한 개헌도 손을댈 수 있을지 궁금한데요. 현행 헌법은 '성별, 종교, 사회적 신분에 의해 차별받지 않는다'고 규정하는데 이보다 더 구체적인 차별 금지를 명문화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가능할까요.
<질문 8> 오늘 정세균 국회의원장은 여야 원내대표 회동에서 이번 개헌 작업이 국민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아야 한다면서 국민과 정부, 국회가 함께하는 3주체 개헌론을 주창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왕이면 국민적 관심과 지지가 중요할 것 같은데요.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김상겸 동국대 법과대 교수>
ADVERTISEMENT
국회가 내년 6월 헌법개정을 목표로 바쁜 걸음을 내달리고 있습니다.
국회 개헌특위는 내일부터 전국 열한 곳에서 헌법개정을 위한 대토론회를 열고 본격적인 국민 의견 수렴에 나설 예정입니다.
과연 30년만의 개헌작업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을지 김상겸 동국대 법과대 교수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ADVERTISEMENT
<질문 1> 내일 부산을 시작으로 전국 11개 지역에서 헌법개정 국민토론회가 열립니다. 먼저 개헌의 의미와 절차를 간단히 정리해 주시죠.
<질문 2> 이번 개헌은 87년 이후 30년만에 개헌 추진인데, 내년 6월 지방선거와 함께 개헌을 하겠다는 게 문재인 대통령의 공약입니다. 과거 정권에서도 여러차례 개헌 논의가 있었는데 번번이 좌절됐습니다. 여야가 개헌 취지에는 공감을 하고 있지만 개헌 방향과 실질적 내용을 두고는 이견이 있습니다. 이번엔 가능할 것으로 보시는지요.
<질문 3> 개헌 국민투표를 지방선거와 같이 한 사례가 있나요. 법적으로 문제가 없는 건가요. 장단점이 있을 것 같습니다.
<질문 4> 현재 국회 정개특위에서 개헌을 주도하고 있는데요. 그런데 문 대통령은 취임 100일 기념 기자회견에서 "개헌특위에서 충분히 국민 주권적 개헌 방안이 마련되지 않거나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정부가 국회 개헌특위의 논의 사항을 이어받아서 국회와 협의하면서 자체적으로 특위를 만들 수 있다"고 밝혀 논란이 됐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 어떻게 보세요. 정부에서 추진하는 것과 국회에서 추진하는 것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질문 5> 이번 개헌의 핵심 내용은 정부형태를 바꾸는 것인데요. 제왕적 대통령제라는 비판을 받은 권력구조를 개편하자는 것입니다. 이것은 또 대통령의 중임 여부와도 맞물려 있습니다. 정치권에서 다양한 의견이 나오고 있는데, 현행 제도의 부작용을 줄일 수 정부형태가 선택될 수 있을까요.
<질문 6> 정부형태 뿐 아니라 5·18 정신의 헌법 포함 여부, 선거구제 개편 등 민감한 현안에 대해서는 여야 입장이 다릅니다. 지금 상황으로 보면 개헌안에 모든 걸 다 담을 수는 없을 듯 한데요?
<질문 7> 권력구조 개편 외에 성평등, 외국인의 기본권 보장 등 인권과 관련한 개헌도 손을댈 수 있을지 궁금한데요. 현행 헌법은 '성별, 종교, 사회적 신분에 의해 차별받지 않는다'고 규정하는데 이보다 더 구체적인 차별 금지를 명문화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가능할까요.
ADVERTISEMENT
<질문 8> 오늘 정세균 국회의원장은 여야 원내대표 회동에서 이번 개헌 작업이 국민들의 압도적 지지를 받아야 한다면서 국민과 정부, 국회가 함께하는 3주체 개헌론을 주창해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왕이면 국민적 관심과 지지가 중요할 것 같은데요.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