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송영무 '전술핵' 거론…논란 되는 이유는?
<출연 : 국민대 정치대학원 박휘락 원장>
한미 국방장관 회담에서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 문제가 거론된 것으로 알려져 미묘한 파장을 낳고 있습니다.
북한의 거듭된 도발로 살얼음판을 걷는 듯한 한반도 정세가 9월에도 반전의 계기를 찾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입니다.
이 시간 박휘락 국민대 정치대학원 원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어제 한미 국방장관 회담에서 전술핵 한반도 재배치 문제가 언급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청와대는 바로 전술핵 배재치 검토한바 없다고 논란 확산 차단에 나섰는데요. 배치 찬성해야 한다는 쪽과 그 반대쪽 논리가 있을 듯 합니다.
<질문 2> 지난달 29일 북한의 '화성-12형' 발사 이틀 만인 어제 미국이 F-35B 스텔스 전투기 4대와 B-1B 전략폭격기 2대를 동시에 한반도에 출격시켜 폭탄투하 훈련을 하며 강력한 억제력을 과시했습니다. 우리 공군전투기 4대와 첫 연합항공차단 작전을 펼쳤다고 하죠. 과거 북한 도발 직후 전략무기만 전개했던 것과 다른 대응입니다.
<질문 3> 북한이 강하게 반발해 온 한미 연합훈련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이 어제 종료됐습니다. 북한은 이와 관계없이 도발 수위를 계속 끌어올릴 가능성이 큽니다. 9월 위기설도 나옵니다. 특히 지난해 9월 9일 5차 핵실험을 했다는데 주목해야 할 듯 한데요.
<질문 4> 북한이 지난달 29일 '화성-12형' 발사 이후 김정은이 "침략의 전초기지인 괌도를 견제하기 위한 의미심장한 전주곡"이라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괌 포위 사격을 실제 실행에 옮길 가능성이 있을까요?
<질문 5> 김정은 위원장이 최근 경제ㆍ민생 관련 공개활동을 하지 않고 무기개발 행보에만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렇게 민생은 두고 미사일에 집착하는 이유가 있나요?
<질문 6> 북한의 도발에 대한 미국이 향후 어떻게 나올지도 관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매티스 국방장관이 서로 다른 목소리를 냈는데요. 미국이 제재와 대화를 병행할까요?
<질문 7> 통일부, 이번달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을 공식 발표합니다.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기 위한 적극적인 대북 메시지가 나올까요?
<질문 8> 이런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6일 러시아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습니다. 북핵과 한반도 안보 현안에 대한 논의가 있을텐데 러시아가 지금 국면에서 위기를 완화하는 지렛대 역할을 해 줄 수 있을까요?
지금까지 박휘락 국민대 정치대학원원장이었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국민대 정치대학원 박휘락 원장>
ADVERTISEMENT
한미 국방장관 회담에서 한반도 전술핵 재배치 문제가 거론된 것으로 알려져 미묘한 파장을 낳고 있습니다.
북한의 거듭된 도발로 살얼음판을 걷는 듯한 한반도 정세가 9월에도 반전의 계기를 찾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입니다.
이 시간 박휘락 국민대 정치대학원 원장과 함께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ADVERTISEMENT
<질문 1> 어제 한미 국방장관 회담에서 전술핵 한반도 재배치 문제가 언급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청와대는 바로 전술핵 배재치 검토한바 없다고 논란 확산 차단에 나섰는데요. 배치 찬성해야 한다는 쪽과 그 반대쪽 논리가 있을 듯 합니다.
<질문 2> 지난달 29일 북한의 '화성-12형' 발사 이틀 만인 어제 미국이 F-35B 스텔스 전투기 4대와 B-1B 전략폭격기 2대를 동시에 한반도에 출격시켜 폭탄투하 훈련을 하며 강력한 억제력을 과시했습니다. 우리 공군전투기 4대와 첫 연합항공차단 작전을 펼쳤다고 하죠. 과거 북한 도발 직후 전략무기만 전개했던 것과 다른 대응입니다.
<질문 3> 북한이 강하게 반발해 온 한미 연합훈련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이 어제 종료됐습니다. 북한은 이와 관계없이 도발 수위를 계속 끌어올릴 가능성이 큽니다. 9월 위기설도 나옵니다. 특히 지난해 9월 9일 5차 핵실험을 했다는데 주목해야 할 듯 한데요.
<질문 4> 북한이 지난달 29일 '화성-12형' 발사 이후 김정은이 "침략의 전초기지인 괌도를 견제하기 위한 의미심장한 전주곡"이라는 이야기를 했습니다. 괌 포위 사격을 실제 실행에 옮길 가능성이 있을까요?
<질문 5> 김정은 위원장이 최근 경제ㆍ민생 관련 공개활동을 하지 않고 무기개발 행보에만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렇게 민생은 두고 미사일에 집착하는 이유가 있나요?
<질문 6> 북한의 도발에 대한 미국이 향후 어떻게 나올지도 관심입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매티스 국방장관이 서로 다른 목소리를 냈는데요. 미국이 제재와 대화를 병행할까요?
<질문 7> 통일부, 이번달 문재인 정부의 대북정책을 공식 발표합니다. 북한을 대화의 장으로 끌어내기 위한 적극적인 대북 메시지가 나올까요?
ADVERTISEMENT
<질문 8> 이런 가운데 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6일 러시아를 방문해 푸틴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갖습니다. 북핵과 한반도 안보 현안에 대한 논의가 있을텐데 러시아가 지금 국면에서 위기를 완화하는 지렛대 역할을 해 줄 수 있을까요?
지금까지 박휘락 국민대 정치대학원원장이었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