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지진대피소는 어디?…표지판 없어 유명무실

[앵커]

ADVERTISEMENT


이제 지진은 더이상 남의 나라 이야기가 아닙니다.

그런데 지진이 나면 어디로 대피해야 하는지 알고 계십니까?

서울에만 2천200개가 있다는데 표지판 조차 제대로 없는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이경태 기자입니다.

[기자]

다른 자연재해와 달리 예고 없이 한순간에 들이닥치는 지진.

ADVERTISEMENT


건물이 크게 흔들려 생사를 다투는 상황에서 짧은 시간 내에 지진 대피소로 달려가기란 쉽지 않습니다.

지진이 난 포항시 역시 학교 운동장과 공터 등 옥외 지진 대피소가 415곳이나 있었지만 이곳을 이용했던 시민은 거의 없었습니다.

이에 따라 강진 이후 여진 등이 계속될 경우를 대비해 평소 지진대피소 위치 등 관련 정보를 제대로 알려줘야 한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국민안전처에 따르면 학교 운동장 등 지진 옥외대피소로 지정된 지역은 출입구에 '지진 옥외대피소' 안내 표지판을 설치해야 합니다.

멀리서도 볼 수 있어야 하며 야간식별도 가능해야 합니다.

하지만 서울의 2천200개 지진대피소 중 안내 표지판이 설치된 곳은 절반에 불과합니다.

대피소 수용인원도 인구 대비 부족한 실정입니다.

대피소 2천200곳의 수용인원은 약 417만 명으로, 서울 인구의 40% 수준에 불과합니다.

지진이 나면 옥외대피소에 모였다 이후 실내구호소로 이동해야 하기 때문에 1차 탈출구인 옥외대피소에 대한 홍보가 시급하단 지적이 나옵니다.

연합뉴스TV 이경태입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