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1번지] "남북 정상회담 4월 27일 개최 합의"…김정은, 집권 7년만에 처음
<출연 :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ㆍ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북중 정상회담 이후 남북한과 미국, 중국 등 관련국들의 움직임이 더욱 분주해지는 모습입니다.
오늘 판문점에선 남북 정상회담을 위한 고위급 회담이 열리고 있고, 중국에선 양제츠 정치국 위원이 방한해 북중회담 결과를 설명합니다.
한반도 비핵화 전망을 놓고는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는 분위기입니다.
이 시간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두분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남북 정상회담 일정과 의제를 확정하기 위한 고위급회담이 판문점 북측 지역인 통일각에서 오늘 오전 10시부터 열렸습니다. 회담 날짜가 확정돼야 스케줄대로 움직일텐데요.
<질문 1-1> 우리측은 일단 한반도 비핵화와 군사적 긴장완화 등 항구적 평화정착과 남북관계 진전 등을 의제로 상정하고 있지만 북한은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 궁금합니다.
<질문 2> 우리 예술단의 평양공연을 위한 선발대가 오늘 북한으로 출발했습니다. 이번 예술단 공연에 참가한 가수들 면면으로 볼 때 어떤 내용의 공연이 이뤄질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3>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을 비롯한 북한 매체들이 북중 정상회담 소식을 대대적으로 보도했습니다. 사진만 60장이나 게재했고, 이례적으로 김정은 특별열차의 내부 모습까지 공개했는데요. 하지만 비핵화 관련 내용은 일체 없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1> 중국의 '극진한 환대'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같은 의전에 담긴 시진핑 주석의 속내,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4> 첫 국제 외교무대에 데뷔한 김정은 위원장이 이번 방중을 통해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동등하게 맞대응을 할 수 있는 지도자로서의 위상을 과시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 위원장이 얻은 가장 큰 소득은 뭘까요?
<질문 5> 북중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한미 정부는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김정은 위원장이 비핵화를 위한 '단계적 조치'를 언급한 것을 두고 과거처럼 이른바 '살라미 전술'이 재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소리도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이 오늘 방한했습니다. 시진핑 주석의 특별대표 자격으로 방한한 건데요. 정의용 실장과 회담하고 내일은 문 대통령을 예방합니다. 북중 정상회담의 결과와 관련한 논의가 이뤄질 텐데, 중국이 우리 측에 주문을 하거나 협조를 구할 내용이 있을까요?
<질문 6-1> 북한이 얘기하는 비핵화가 어떤 의미인지를 파악하는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영변 핵시설에서 새로운 원자로가 가동에 들어간 것 같다는 미국 언론들의 보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북-미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로 떠오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7> 시진핑 주석이 김정은 위원장의 방북 초청을 수락했다는데, 방북 시기를 놓고 여러 가지 추측이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ㆍ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ADVERTISEMENT
북중 정상회담 이후 남북한과 미국, 중국 등 관련국들의 움직임이 더욱 분주해지는 모습입니다.
오늘 판문점에선 남북 정상회담을 위한 고위급 회담이 열리고 있고, 중국에선 양제츠 정치국 위원이 방한해 북중회담 결과를 설명합니다.
한반도 비핵화 전망을 놓고는 기대와 우려가 엇갈리는 분위기입니다.
ADVERTISEMENT
이 시간 홍현익 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임을출 경남대 극동문제연구소 교수 두분 모시고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남북 정상회담 일정과 의제를 확정하기 위한 고위급회담이 판문점 북측 지역인 통일각에서 오늘 오전 10시부터 열렸습니다. 회담 날짜가 확정돼야 스케줄대로 움직일텐데요.
<질문 1-1> 우리측은 일단 한반도 비핵화와 군사적 긴장완화 등 항구적 평화정착과 남북관계 진전 등을 의제로 상정하고 있지만 북한은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 궁금합니다.
<질문 2> 우리 예술단의 평양공연을 위한 선발대가 오늘 북한으로 출발했습니다. 이번 예술단 공연에 참가한 가수들 면면으로 볼 때 어떤 내용의 공연이 이뤄질 것으로 보십니까?
<질문 3> 북한 노동당 기관지인 노동신문을 비롯한 북한 매체들이 북중 정상회담 소식을 대대적으로 보도했습니다. 사진만 60장이나 게재했고, 이례적으로 김정은 특별열차의 내부 모습까지 공개했는데요. 하지만 비핵화 관련 내용은 일체 없었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3-1> 중국의 '극진한 환대'도 눈길을 끌었습니다. 이같은 의전에 담긴 시진핑 주석의 속내,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4> 첫 국제 외교무대에 데뷔한 김정은 위원장이 이번 방중을 통해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동등하게 맞대응을 할 수 있는 지도자로서의 위상을 과시했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김 위원장이 얻은 가장 큰 소득은 뭘까요?
ADVERTISEMENT
<질문 5> 북중 정상회담 결과에 대해 한미 정부는 일단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김정은 위원장이 비핵화를 위한 '단계적 조치'를 언급한 것을 두고 과거처럼 이른바 '살라미 전술'이 재연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의 소리도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6> 양제츠 중국 외교담당 정치국 위원이 오늘 방한했습니다. 시진핑 주석의 특별대표 자격으로 방한한 건데요. 정의용 실장과 회담하고 내일은 문 대통령을 예방합니다. 북중 정상회담의 결과와 관련한 논의가 이뤄질 텐데, 중국이 우리 측에 주문을 하거나 협조를 구할 내용이 있을까요?
<질문 6-1> 북한이 얘기하는 비핵화가 어떤 의미인지를 파악하는게 중요하다고 합니다. 이런 가운데 북한 영변 핵시설에서 새로운 원자로가 가동에 들어간 것 같다는 미국 언론들의 보도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북-미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로 떠오를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질문 7> 시진핑 주석이 김정은 위원장의 방북 초청을 수락했다는데, 방북 시기를 놓고 여러 가지 추측이 나옵니다. 어떻게 보십니까?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