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뉴스초점] 미 'PVID' 표현 주목…북미회담 개최 장소는?

<출연 : 임성준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ADVERTISEMENT


남북 정상회담 이후 한반도 해빙 무드가 조성되고 있는 가운데 이제 시선은 북미 정상회담으로 쏠리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문 대통령은 중재외교 행보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두 분과 자세한 소식 짚어보겠습니다.

임성준 전 청와대 외교안보수석, 봉영식 연세대 통일연구원 연구위원 어서 오세요.

<질문 1>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틀째 북미 정상회담 개최 장소 및 날짜가 모두 정해졌다고 말했습니다. 곧 발표하겠다던 장담과 달리 실제 발표는 여전히 뜸을 들이고 있는데, 배경을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2> 트럼프 대통령이 언급한 판문점이 북미 회담이 열릴 유력한 후보로 부상했지만, 싱가포르 쪽으로 기우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습니다. '극적인 효과'를 위해 막판에 판문점을 최종 장소로 택할 가능성이 있을까요? 싱가포르로 선택한다면 이유는 무엇일까요?

ADVERTISEMENT


<질문 3> 당초보다 늦어진 22일 한미 정상회담 개최 일정이 확정되면서, 북미 정상회담도 순차적으로 늦어질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 게다가 다음 달 8-9일 캐나다에서 열리는 G7 정상회의도 변수인데요. 북미 회담은 그 이후가 될까요?

<질문 4> 한미 회담에선 아무래도 북미 정상회담을 앞둔 만큼 긴밀한 조율이 중요한 의제가 되겠죠? 특히 핵폐기 일괄타결, 즉 리비아식 해법을 강조하는 미국과 단계적·동시적 해법을 선호하는 북한의 이견차가 분명한데 이 부분은 어떻게 조율이 될까요?

<질문 5> 이런 가운데 최근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북핵 문제 해결 방식으로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CVID)'가 아닌 '영구적이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PVID)'로 표현하면서 배경이 주목됩니다. 어떤 의도로 보십니까?

<질문 6> 만약 북한이 '영구적이고 검증가능하며 불가역적인 폐기(PVID)' 방식을 받아들인다면 그 대가로 무엇을 청구하게 될까요? 미국이 가진 보상 카드는 무엇입니까?

<질문 7>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논란이 되고 있는 주한미군 주둔 문제에 대해 북미 정상회담 의제가 전혀 아니라고 못을 박았습니다. 다만 "미래 어느 시점에서는 비용을 아끼고 싶다"고 말해 여운을 남겼는데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질문 8>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완전한 비핵화를 공식석상에서 천명하면서 이를 현실화하기 위해서는 미국을 포함한 중·러·일의 협력도 반드시 필요합니다. 문 대통령의 특히 9일 도쿄에서 열리는 한중일 정상회의가 중요한 교두보가 될 텐데, 어떻게 전망하십니까?

<질문 9> 판문점 선언의 후속 조치가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 서해 북방한계선 인근 연평도와 백령도에 외교 안보 부처 장관들이 총출동했는데요. 과거 남북 간 서해 평화수역·공동어로구역 설정은 끝내 이견이 좁혀지지 않아 불발된 바 있죠. 합의에 이르기까지 가장 핵심 쟁점은 무엇이 될까요?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