펜스 "북한, 잔혹행위로 권력유지"…비핵화 압박
[앵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북한의 인권과 종교 문제를 강조하며 비판의 수위를 높였습니다.
인권문제를 고리로 비핵화 협상에서 북한을 압박하겠다는 포석이 깔렸다는 해석이 나오는 데요,
워싱턴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봅니다.
윤석이 특파원.
[기자]
네, 워싱턴DC 입니다.
[앵커]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평소에도 북한에 대해 매우 강경한 입장을 고수해왔는데요. 이번에도 북한을 강한 어조로 비판했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은 26일 "우리 모두, 북미관계의 개선을 바라지만 북한 지도부가 주민에게 잔혹한 행위를 해왔다는 사실은 피할 길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펜스 부통령은 국무부가 주관한 '종교의 자유 증진을 위한 장관급 회의'에 참석해 중국의 상황을 언급한 뒤 "그 이웃 북한은 훨씬 더 심하다"며 이같이 밝혔는 데요,
펜스 부통령의 이야기 잠시 들어보시겠습니다.
<마이크 펜스 / 미국 부통령> "북한 지도부가 수십년간 주민에게 비할 데 없는 궁핍을 안기고 잔혹한 행위를 해왔다는 명백한 사실은 피할 길이 없습니다."
이번 회의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리는 것으로, 북미간 비핵화 협상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종교 자유 등 인권 문제를 고리로 북한을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다만 중국과 이란, 미얀마 등을 상대로 한 성명을 채택하면서도 북한은 제외해 향후 협상을 대비해 수위를 조절했다는 해석도 나왔습니다.
[앵커]
이런 가운데 미국 의회에서 "북한의 핵을 인도, 태평양 지역의 안보 위협'으로 규정한 '2019년도 국방수권법안'이 하원을 통과했다고요?
[기자]
네, 국방수권법은 미국의 안보상 필요시 다른 국가에 대해 정치적, 군사적 제재를 가하도록 허용하는 법인데요,
내년에 적용되는 이 법안에 북한의 핵을 인도, 태평양 지역 안보의 위협 요인으로 적시하고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 비핵화'를 외교 정책의 핵심 목표로 규정했습니다.
아울러 '북한의 비핵화와 종전협정에 대한 협상으로 기존 동맹에 대한 안보 공약에 변동이 생겨선 안되며 주한미군도 견고하게 유지돼야한다'는 점도 명시했습니다.
주한미군 병력도 2만2천명 이하로 줄일 수 없도록 제한하는 내용도 담겼는 데요.
오늘 미 하원을 통과했고 조만간 상원도 통과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내용은 국방수권법의 '의회의 인식'이라는 별도 항목에 담겼는 데요.
즉 미국 상.하원 의원들이 이런 내용에 의견의 일치를 봤다는 것으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 입장에서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 등 관계 개선 논의 과정에서 적지않은 압박 요인이 될 것이란 분석입니다.
[앵커]
글로벌 무역 전쟁도 큰 관심사 인데, 미국이 유럽연합과 무역갈등을 완화하는 데 합의했지만 자동차 관세 문제와 관련해서는 조사를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요?
[기자]
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장클로드 융커 EU 집행위원장과 무역 갈등을 완화하기로 합의한지 채 하루도 안된 상황인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26일 윌버 로스 상무장관을 통해 "유럽연합, EU와 협상을 진행하는 동안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지만 자동차 관세문제에 대해선 계속 조사하라"고 지시했습니다.
EU와 무역갈등 완화에 합의했지만 최종 협상 결과가 나올 때까지 자동차 관세를 매개로 EU를 압박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융커 집행위원장의 발언 잠시 들어보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나는 단지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을 위한 엄청난 날이다. 진정으로 중요한 날이다. 이렇게 말하면서 결론을 내길 원합니다."
<장클로드 융커 / EU 집행위원장> "협상이 진행되는 한, 한쪽이 협상을 중단하지 않는 한, 우리는 더이상의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미국이 유럽연합과 무역갈등 완화에 합의한 것은 대중 무역압박에 화력을 집중하겠다는 포석이 아니냐는해석도 나옵니다.
스티븐 므누신 장관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협상을 위해 진지한 움직임을 보인다면 우리는 준비돼 있다"며 "중국과도 협상이 가능하다"고 밝혔는 데요,
트럼프 행정부는 무역전쟁으로 타격을 입은 농가에 최대 120억 달러, 약 13조6천억 원의 긴급지원을 결정하는 등 장기전에도 대비하는 모습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앵커]
ADVERTISEMENT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이 북한의 인권과 종교 문제를 강조하며 비판의 수위를 높였습니다.
인권문제를 고리로 비핵화 협상에서 북한을 압박하겠다는 포석이 깔렸다는 해석이 나오는 데요,
워싱턴 연결해 자세한 소식 들어봅니다.
윤석이 특파원.
[기자]
네, 워싱턴DC 입니다.
ADVERTISEMENT
[앵커]
마이크 펜스 부통령은 평소에도 북한에 대해 매우 강경한 입장을 고수해왔는데요. 이번에도 북한을 강한 어조로 비판했군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마이크 펜스 미국 부통령은 26일 "우리 모두, 북미관계의 개선을 바라지만 북한 지도부가 주민에게 잔혹한 행위를 해왔다는 사실은 피할 길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펜스 부통령은 국무부가 주관한 '종교의 자유 증진을 위한 장관급 회의'에 참석해 중국의 상황을 언급한 뒤 "그 이웃 북한은 훨씬 더 심하다"며 이같이 밝혔는 데요,
펜스 부통령의 이야기 잠시 들어보시겠습니다.
<마이크 펜스 / 미국 부통령> "북한 지도부가 수십년간 주민에게 비할 데 없는 궁핍을 안기고 잔혹한 행위를 해왔다는 명백한 사실은 피할 길이 없습니다."
이번 회의는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처음 열리는 것으로, 북미간 비핵화 협상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종교 자유 등 인권 문제를 고리로 북한을 압박하기 위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다만 중국과 이란, 미얀마 등을 상대로 한 성명을 채택하면서도 북한은 제외해 향후 협상을 대비해 수위를 조절했다는 해석도 나왔습니다.
[앵커]
이런 가운데 미국 의회에서 "북한의 핵을 인도, 태평양 지역의 안보 위협'으로 규정한 '2019년도 국방수권법안'이 하원을 통과했다고요?
[기자]
네, 국방수권법은 미국의 안보상 필요시 다른 국가에 대해 정치적, 군사적 제재를 가하도록 허용하는 법인데요,
내년에 적용되는 이 법안에 북한의 핵을 인도, 태평양 지역 안보의 위협 요인으로 적시하고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 비핵화'를 외교 정책의 핵심 목표로 규정했습니다.
아울러 '북한의 비핵화와 종전협정에 대한 협상으로 기존 동맹에 대한 안보 공약에 변동이 생겨선 안되며 주한미군도 견고하게 유지돼야한다'는 점도 명시했습니다.
주한미군 병력도 2만2천명 이하로 줄일 수 없도록 제한하는 내용도 담겼는 데요.
오늘 미 하원을 통과했고 조만간 상원도 통과할 것으로 보입니다.
이런 내용은 국방수권법의 '의회의 인식'이라는 별도 항목에 담겼는 데요.
즉 미국 상.하원 의원들이 이런 내용에 의견의 일치를 봤다는 것으로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 입장에서 북한과의 비핵화 협상 등 관계 개선 논의 과정에서 적지않은 압박 요인이 될 것이란 분석입니다.
[앵커]
글로벌 무역 전쟁도 큰 관심사 인데, 미국이 유럽연합과 무역갈등을 완화하는 데 합의했지만 자동차 관세 문제와 관련해서는 조사를 계속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고요?
[기자]
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장클로드 융커 EU 집행위원장과 무역 갈등을 완화하기로 합의한지 채 하루도 안된 상황인데요,
트럼프 대통령은 26일 윌버 로스 상무장관을 통해 "유럽연합, EU와 협상을 진행하는 동안에 관세를 부과하지 않겠지만 자동차 관세문제에 대해선 계속 조사하라"고 지시했습니다.
EU와 무역갈등 완화에 합의했지만 최종 협상 결과가 나올 때까지 자동차 관세를 매개로 EU를 압박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트럼프 대통령과 융커 집행위원장의 발언 잠시 들어보겠습니다.
<도널드 트럼프 / 미국 대통령> "나는 단지 자유롭고 공정한 무역을 위한 엄청난 날이다. 진정으로 중요한 날이다. 이렇게 말하면서 결론을 내길 원합니다."
<장클로드 융커 / EU 집행위원장> "협상이 진행되는 한, 한쪽이 협상을 중단하지 않는 한, 우리는 더이상의 관세를 부과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미국이 유럽연합과 무역갈등 완화에 합의한 것은 대중 무역압박에 화력을 집중하겠다는 포석이 아니냐는해석도 나옵니다.
스티븐 므누신 장관은 CNBC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이 협상을 위해 진지한 움직임을 보인다면 우리는 준비돼 있다"며 "중국과도 협상이 가능하다"고 밝혔는 데요,
트럼프 행정부는 무역전쟁으로 타격을 입은 농가에 최대 120억 달러, 약 13조6천억 원의 긴급지원을 결정하는 등 장기전에도 대비하는 모습입니다.
지금까지 워싱턴에서 전해드렸습니다.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