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특보] 남북정상회담 마지막 날 일정 시작…성과와 과제는?
<출연 : 문장렬 국방대학교 교수ㆍ최경희 샌드연구소 대표>
11년 만에 평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의 마지막 날 일정이 시작됐습니다.
지난 2박 3일간 열린 정상회담의 성과와 과제, 두 분 전문가와 함께 짚어봅니다.
문장렬 국방대학교 교수, 탈북민 해외 1호 박사시죠. 최경희 샌드연구소 대표 나와 주셨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아마도 이 시각이면 양국 정상이 백두산에 함께 올랐을 것 같은데 남북 양 정상이 한반도 평화라는 중요한 합의를 하고 함께 민족의 영산인 백두산을 오르는 것, 그것만으로도 하나의 메시지가 될 수 있지 않습니까?
<질문 1-1> 최경희 박사님, 사실 중국을 통해 백두산을 가본 분들은 우리나라에도 꽤 있지만 북한 쪽에서 백두산을 들어간 분들은 거의 없지 않을까 싶은데 실제로 북한 쪽에서 바라본 백두산과 천지가 그렇게 아름답다면서요?
<질문 2> 어젯밤 또 하나의 역사적 장면도 등장을 했습니다. 바로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의 집단체조 '빛나는 조국'의 관람을 한 후 북한 주민 15만 명 앞에서 우리 국가 원수로는 처음으로 연설을 한 건데요. 두 분 다 보셨지요? 문 대통령의 연설이 끝날 때마다 환호와 박수를 보내는 모습이 사실 소름끼칠 만큼 장관이었는데요?
<질문 3> 애초 1~2분 정도 짧은 연설이 예정됐다가 7분정도로 길게 연설 길이가 바뀐 것도 제대로 북한주민들에게 남측의 마음이나 심경을 전달하고 싶다는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일까요? 배경은 어떻게 보세요?
<질문 4> 사실 '빛나는 조국'이라는 집단 체조 작품이 체제 선전을 목적으로 하는 작품이어어서 애초 관람에 대한 우려도 있었는데요. 어제는 상당부분 내용을 바꿔 진행을 했다고요? 북한에서는 어떤 작품으로 알려져 있습니까?
<질문 5> 어제 평양공동선언문에 대한 이야기를 좀 나눠보죠. 비핵화 진전 여부에 대해 진전이 있었다. 여전한 답보상태다, 여러가지 이야기가 나왔었는데요. 일단 오늘 오전 미국의 반응이 좋습니다. 일단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기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고 폼페이오 장관이 다음 주 북한과 즉시 협상할 뜻을 밝혔거든요.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여도 될까요?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출연 : 문장렬 국방대학교 교수ㆍ최경희 샌드연구소 대표>
ADVERTISEMENT
11년 만에 평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의 마지막 날 일정이 시작됐습니다.
지난 2박 3일간 열린 정상회담의 성과와 과제, 두 분 전문가와 함께 짚어봅니다.
문장렬 국방대학교 교수, 탈북민 해외 1호 박사시죠. 최경희 샌드연구소 대표 나와 주셨습니다.
ADVERTISEMENT
어서 오십시오.
<질문 1> 아마도 이 시각이면 양국 정상이 백두산에 함께 올랐을 것 같은데 남북 양 정상이 한반도 평화라는 중요한 합의를 하고 함께 민족의 영산인 백두산을 오르는 것, 그것만으로도 하나의 메시지가 될 수 있지 않습니까?
<질문 1-1> 최경희 박사님, 사실 중국을 통해 백두산을 가본 분들은 우리나라에도 꽤 있지만 북한 쪽에서 백두산을 들어간 분들은 거의 없지 않을까 싶은데 실제로 북한 쪽에서 바라본 백두산과 천지가 그렇게 아름답다면서요?
<질문 2> 어젯밤 또 하나의 역사적 장면도 등장을 했습니다. 바로 문재인 대통령이 북한의 집단체조 '빛나는 조국'의 관람을 한 후 북한 주민 15만 명 앞에서 우리 국가 원수로는 처음으로 연설을 한 건데요. 두 분 다 보셨지요? 문 대통령의 연설이 끝날 때마다 환호와 박수를 보내는 모습이 사실 소름끼칠 만큼 장관이었는데요?
<질문 3> 애초 1~2분 정도 짧은 연설이 예정됐다가 7분정도로 길게 연설 길이가 바뀐 것도 제대로 북한주민들에게 남측의 마음이나 심경을 전달하고 싶다는 대통령의 의중이 반영된 것일까요? 배경은 어떻게 보세요?
<질문 4> 사실 '빛나는 조국'이라는 집단 체조 작품이 체제 선전을 목적으로 하는 작품이어어서 애초 관람에 대한 우려도 있었는데요. 어제는 상당부분 내용을 바꿔 진행을 했다고요? 북한에서는 어떤 작품으로 알려져 있습니까?
<질문 5> 어제 평양공동선언문에 대한 이야기를 좀 나눠보죠. 비핵화 진전 여부에 대해 진전이 있었다. 여전한 답보상태다, 여러가지 이야기가 나왔었는데요. 일단 오늘 오전 미국의 반응이 좋습니다. 일단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서 기자들에게 긍정적인 신호를 보였고 폼페이오 장관이 다음 주 북한과 즉시 협상할 뜻을 밝혔거든요. 2차 북미 정상회담의 신호탄으로 받아들여도 될까요?
ADVERTISEMENT
연합뉴스TV : 02-398-4441(기사문의ㆍ제보)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