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택시로만 하라는데…타다 "렌터카로 1만대 확충"

[앵커]

ADVERTISEMENT


렌터카 기반 승합차 호출업체 '타다'가 정부의 이른바 택시 혁신안에 정면 반기를 들었습니다.

택시 면허를 확보한 만큼만 서비스를 허용한다는 정부 방침과 달리, 렌터카로 차량을 1만대까지 늘려 전국 서비스를 하겠다는 겁니다.

택시업계는 물론, 정부와도 갈등이 불가피해졌습니다.

서형석 기자입니다.

[기자]

승차 거부 없는 이동을 내걸고 출시 1년 만에 회원 125만명을 확보한 타다가 공격적 서비스 확장에 나섭니다.

ADVERTISEMENT


1,400여 대선인 렌터카 차량을 내년 말까지 1만 대로 늘리고 서울과 수도권 일부에 한정된 서비스 지역도 전국으로 넓힙니다.



확장 계획도 공격적이지만 내용도 정부의 이른바 상생안에 정면 배치됩니다.



지난 7월 정부가 내놓은 '택시 혁신안'에 따르면 승차호출 업체는 기여금을 내고 택시 면허를 확보한 만큼만 운행할 수 있고 현재 타다와 같은 렌터카 기반 사업은 대상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타다 측은 승합차를 빌린 사람에게 운전자 알선을 허용하는 여객자동차법상 자신들의 방식이 합법이며 택시 혁신안이 비합리적이라고 지적합니다.

<박재욱 / VCNC 대표> "저희가 무슨 댓수를 받는다고 했을 때 만약에 저희 회사가 망하게 되는 경우에 그럼 그 면허권들을 국가에서 되사줄 것인지…"



그간 타다를 불법 유사택시라며 중단을 요구해온 택시업계는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전국택시노동조합연맹 관계자> "국토부가 내놓은 제도개선 방안에 걸맞지 않는 발언이라고 생각해요. 1만대를 늘리고 한다는 것은 어불성설이에요."

국토교통부도 "타다가 현재 영업할 수 있는 근거 규정을 손보겠다"고 경고하고 나서면서 혁신 승차호출 서비스를 둘러싼 갈등은 다시 석 달 전으로 되돌아갈 조짐입니다.

연합뉴스TV 서형석입니다. (codealpha@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