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가인 열풍' 속 국내 최초 트로트센터 개관
[앵커]
요즘 '송가인 열풍' 속에 우리 전통가요 트로트가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있습니다.
전남 영암에 '트로트'의 80년 역사를 정리한 공간이 문을 열었습니다.
김경인 기자입니다.
[기자]
<이미자 '흑산도 아가씨'> "검게 타버린 검게 타버린 흑산도 아가씨~"
때로는 심금을 울리는 가사와 선율로 눈물짓게 하고, 때로는 신나는 리듬으로 웃음 짓게 한 우리 전통가요 '트로트'.
한국 트로트의 역사와 전통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박물관이 처음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하춘화 / 한국 트로트 가요센터 명예관장> "한국 트로트 가요센터가 개관해 '우리 트로트, 한국 전통가요의 정체성 확립과 앞으로 발전·계승 나갈 수 있게 됐다'하는 걸 자신 있게 말씀드립니다."
'고복수'부터 '장윤정'까지 80년 트로트 역사를 빛낸 가수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영암 출신 국민가수 하춘화 씨와 하 씨의 아버지가 모은 음반 등 희귀 자료들도 전시돼 있습니다.
<박종수·김명희 / 전남 목포> "우리 트로트는, 가요는 정말 일상생활을 담아서 저도 똑같이 느끼면서 들을 수 있어서 참 좋았습니다."
200석 규모의 공연장과 직접 노래를 부르고 부른 노래를 소장할 수 있는 레코딩 공간도 마련돼 있습니다.
<임채을 / 영암군청 문화관광과장> "저희가 트로트 요람으로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대중가수를 중심으로 한 공연과 작사, 작곡 등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고…"
영암군은 한국 트로트 가요센터를 트로트의 산실이자, 신인가수 등용문의 요람으로 운영해 나갈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kikim@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앵커]
ADVERTISEMENT
요즘 '송가인 열풍' 속에 우리 전통가요 트로트가 '제2의 전성기'를 맞고 있습니다.
전남 영암에 '트로트'의 80년 역사를 정리한 공간이 문을 열었습니다.
김경인 기자입니다.
[기자]
<이미자 '흑산도 아가씨'> "검게 타버린 검게 타버린 흑산도 아가씨~"
때로는 심금을 울리는 가사와 선율로 눈물짓게 하고, 때로는 신나는 리듬으로 웃음 짓게 한 우리 전통가요 '트로트'.
ADVERTISEMENT
한국 트로트의 역사와 전통을 한눈에 볼 수 있는 박물관이 처음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하춘화 / 한국 트로트 가요센터 명예관장> "한국 트로트 가요센터가 개관해 '우리 트로트, 한국 전통가요의 정체성 확립과 앞으로 발전·계승 나갈 수 있게 됐다'하는 걸 자신 있게 말씀드립니다."
'고복수'부터 '장윤정'까지 80년 트로트 역사를 빛낸 가수들을 만날 수 있습니다.
영암 출신 국민가수 하춘화 씨와 하 씨의 아버지가 모은 음반 등 희귀 자료들도 전시돼 있습니다.
<박종수·김명희 / 전남 목포> "우리 트로트는, 가요는 정말 일상생활을 담아서 저도 똑같이 느끼면서 들을 수 있어서 참 좋았습니다."
200석 규모의 공연장과 직접 노래를 부르고 부른 노래를 소장할 수 있는 레코딩 공간도 마련돼 있습니다.
<임채을 / 영암군청 문화관광과장> "저희가 트로트 요람으로서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기 위해 대중가수를 중심으로 한 공연과 작사, 작곡 등 창작활동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해 주고…"
영암군은 한국 트로트 가요센터를 트로트의 산실이자, 신인가수 등용문의 요람으로 운영해 나갈 계획입니다.
연합뉴스TV 김경인입니다. (kikim@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