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美핵안보국도 해킹당해…바이든 "대가 치를 것"

[앵커]

ADVERTISEMENT


미국 주요 정부 기관에 대한 대규모 해킹 공격 과정에서 핵안보국도 뚫린 것으로 드러나 미 보안당국에 초비상이 걸렸습니다.

조 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은 이들 해커에게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고 경고했습니다.

김영만 기자입니다.

[기자]

미국 핵무기 비축을 관리하는 핵안보국 네트워크에도 해커가 접근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가 보도했습니다.

미 국무부와 재무부, 국토안보부와 같은 주요 부처에 이어 핵무기를 관리하는 연방기관까지 해커의 표적이 된 것입니다.

ADVERTISEMENT


해커 공격의 증거가 포착된 곳은 핵안보국 소속 로스 알라모·샌디아 연구소와 안전수송실이라고 폴리티코는 전했습니다.

이들 연구소에서는 핵무기와 원자력 연구가 진행되고 있고, 안전수송실은 핵무기 비축량 유지에 필수적인 농축우라늄 등의 수송을 담당하고 있습니다.

미 당국은 해커들이 어떤 자료에 접근했는지 조사하고 있지만, 피해 범위를 파악하는 데는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앞서 미 국무부와 재무부에 이어 국토안보부 내부망이 해커들에게 뚫린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로이터 통신은 소식통을 인용해 러시아 정부와 손잡은 것으로 보이는 수준 높은 해커 팀이 이들 연방정부 내부망에 침입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전했습니다.

미 사이버안보국은 이번 해킹으로 연방기관의 중요한 기반시설이 손상됐다면서 '심각한 위협'이라고 경고했습니다.

해커들의 침투 시기는 지난 3월로 추정되며, 피해 규모를 조사 중이지만 최악의 해킹으로 기록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

세계적 정보기술 IT업체 마이크로소프트(MS)도 러시아 소행으로 추정되는 대규모 해킹 공격에 뚫린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바이든 미국 대통령 당선인은 해커들에게 대가를 치르게 하겠다고 밝혔습니다.

또 차기 정부가 출범하면 이번 해킹에 대한 대응을 최우선 순위에 둘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연합뉴스 김영만입니다. (ymkim@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