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뉴스초점] 러, 극초음속 미사일 '킨잘'로 우크라이나 공습

<출연 : 이양구 전 우크라이나 대사>

ADVERTISEMENT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 1년을 넘긴 가운데 러시아가 우크라이나 주요 도시에 동시다발적인 미사일 공격을 가했습니다.

이양구 전 우크라이나 대사와 관련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어서 오세요.

ADVERTISEMENT


<질문 1> 러시아가 지난 9일 새벽 우크라이나 중서부 주요 도시들을 겨냥해 극초음속 미사일 '킨잘'을 무더기로 쏟아부었습니다. 3주 만에 또다시 대규모 미사일 공격을 감행한 배경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2> 러시아는 킨잘 미사일 6발을 포함 총 81발의 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 우크라이나는 러시아가 보유한 킨잘 미사일이 50발을 넘지 않는다고 추정하고 있었는데, 보유량의 10% 이상을 동원한 이유가 있을까요?

<질문 3> 극초음속 미사일은 음속의 5배 이상 속도로 날아갈 수 있는 차세대 무기입니다. 교착 상태인 지상전에서 공중전 위주로 눈을 돌리려는 것 아니냐, 이런 분석도 나오는데요?

<질문 4> 현재 러시아의 병력·무기 고갈로 지상전이 극심한 교착 상태인 상황에서 공중전만으로 전황에 큰 변화가 있을지, 현재 전쟁 양상은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5>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이 시작된 지 1년이 지났지만, 끝날 분위기는 아닙니다. 이렇게 장기화하는 배경으로 양국 대통령 선거가 주요 원인으로 꼽히기도 하는데요. 양측 모두 물러설 수 없는 상황이네요?

<질문 6> 이런 가운데 오스틴 미 국방부 장관이 이스라엘을 포함한 동맹국에 우크라이나 지원 확대를 촉구하고 나섰습니다. 이스라엘은 이번 전쟁에 조심스러운 태도를 유지해왔는데요. 전쟁 상황을 우크라에 유리하게 이끌 수 있을까요?

<질문 7> 한국 정부가 한국산 부품이 들어가는 자주포를 지난해 폴란드에서 우크라이나로 수출하는 것을 승인했다고 로이터통신이 보도했습니다. 국방부는 차체만 공급했다고 선을 그었는데, 이번 수출은 어떤 의미로 보십니까?

ADVERTISEMENT


<질문 8> 다만, 미국과 나토 등 서방 진영에서는 한국 정부에 우크라이나 무기 지원을 압박해오고 있습니다. 다음 달 열리는 한미정상회담의 의제로 오를 거란 관측도 나오는데, 우리 정부가 어떤 입장을 취해야 할까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