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꿈의 구속 160km는…사실 "눈 감고 치는 격"?

[앵커]

ADVERTISEMENT


올 시즌 KBO리그에서 '꿈의 구속'으로 여겨지던 시속 160km가 처음으로 깨지면서 속도 경쟁에도 관심이 뜨겁습니다.

바람을 가르는 빠른 공이 국내 프로야구에 새로운 활기를 불어넣고 있습니다.

박수주 기자입니다.

[기자]

한국 프로야구 역사상 처음으로 시속 160km의 벽을 넘은 한화 문동주.

키움 안우진과 한화의 또 다른 괴물 신인 김서현도 그에 맞먹는 빠른 공을 던지고 있습니다.

ADVERTISEMENT


평균 구속 1위는 안우진. 속도보다는 '제구'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안우진 / 키움 투수> "구속보다 제구가 더 중요하다고 말을 하고 싶습니다. 제구만 잘 돼도 훨씬 더 타자를 쉽게 잡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그렇다고 '꿈의 구속'을 포기하지는 않았습니다.

<안우진 / 키움 투수> "(160km 던져보고 싶진 않은지?) 170km도 던지고 싶다니까요."

안우진의 공은 배터리를 이루는 포수 이지영에게 경기 도중 미트를 터뜨리는 고충 아닌 고충을, 때로는 희열을 선사하기도 합니다.

<이지영/ 키움 포수> "작년부터 써왔던 미트여가지고… 근데 조금 더 쓸 수 있었겠죠. 우진이 공이라서 조금 더 끊어지는 게 빨랐던 거 같아요. 정말 좋은 공이 들어왔을 때는 저도 막 진짜 약간 희열을 느끼기도 하거든요."

타자들에겐 어떨까.

시속 140~150km 사이의 공이 마운드에서 포수까지 도달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0.4초.

보통 타자들은 공의 속성을 판단하는 데 0.25초, 칠지 말지를 결정하고 배트를 휘두르는 데 0.15초를 씁니다.

하지만 공이 시속 150~160km가 되면 도달 시간은 최고 0.35초 이하까지 떨어집니다.

사실상 칠지 말지 마음먹기도 전에 끝날 수 있는 겁니다.

<박상헌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 박사> "사람이 눈 깜빡했을 때 0.15~0.2초라고 봐요. 시속 160km 이상의 공은 사실 반응하고 칠 수 있는 공이 아니에요. 그래서 투수 폼이나 공의 배합들을 미리 알고 들어가는 거죠. 사실 눈 감고 치는 거랑 똑같다고 보시면 돼요."

큰 키와 골격 등 타고난 신체부터 유연성과 움직임의 순서까지 맞아떨어져야 던질 수 있다는 광속구.

새로운 관전 포인트로 올 시즌 팬들의 마음을 들썩이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박수주입니다. (sooju@yna.co.kr)

#꿈의구속_160km #강속구 #안우진 #제구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