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혐오시설 낙인 '마약재활시설'…"공존 방법 찾아야"

[앵커]

ADVERTISEMENT


최근 마약사범이 급증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마약재활시설은 '혐오시설'로 여겨지곤 합니다.

최근 남양주의 민간 마약재활시설는 센터를 이전하는 과정에서 주민 반대에 부딪히기도 했는데요.

정부가 나서 공존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문승욱 기자입니다.

[기자]

임상현 씨는 5년째 마약재활시설을 운영 중입니다.

ADVERTISEMENT


이 시설은 마약 재활자들이 입소해 치료를 받는 주거형 시설로 야간에도 운영됩니다.

하지만 최근 시설을 이전하는 과정에서 주민 5천여 명이 반대 서명을 벌이는 등 반발에 부딪혔습니다.

시설 인근에 학교가 있어 교육 환경에 해롭다는 겁니다.

<임상현 / 경기도 다르크 마약재활센터 대표> "학교 옆이 안 되면 그 학교 옆이 아닌 쪽에다가 저희를 운영할 수 있는 어떤 대책을 세워줘야 되지 않느냐."

지금은 시설 운영이 잠정 중단된 상태.

재활 치료를 받던 입소자 A 씨도 시설에서 퇴소했습니다.

당장 치료를 받을 수 있는 마땅한 곳이 없어 걱정이 앞섭니다.

< A씨 / 마약재활치료자> "제가 중독이라는 걸 인지하는 순간에 나는 앞으로 삶을 살아가는데 이 약을 맨날 하겠지라는 생각이 드는 거예요."

< B씨 / 마약재활치료자> "치료 할 수 있는 기관에는 다 가본 것 같아요. 병원은 일단 자고 먹고 약만 주고…이 센터 없어지면 저희는 나가서 분명 마약을 할 거고 그게 사회적으로 보면 더 큰 피해죠."

지난해 마약사범은 전년보다 약 30% 증가했는데, 이 가운데 절반 가까이가 재범자였습니다.

또 전체 마약류 사범 중 치료를 받는 인원은 1.8%에 그쳤습니다.

마땅히 치료를 받을 수 있는 곳도 없는데, 중독재활시설이 '혐오시설'로 여겨지다 보니 들어설 자리가 없는 실정입니다.

정부 지원으로 운영되는 중독재활센터도 전국에 2곳뿐이고, 주거형 민간 재활치료시설인 '다르크'도 4곳에 불과합니다.

마약은 재범률이 높은 만큼, 제대로 된 재활 치료가 이뤄질 수 있는 환경이 만들어질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연합뉴스TV 문승욱입니다. (winnerwook@yna.co.kr)

#마약 #재활 #혐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