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1인 가구 느는데 소형 주택↓…오피스텔 규제 완화 요구

[앵커]

ADVERTISEMENT


우리나라 1인 가구 수는 빠르게 증가하고 있지만 이들을 위한 소형 주택은 거꾸로 줄어들고 있는 실정입니다.

건설 업계가 오피스텔을 주택 수 산정에서 빼는 등 비아파트 규제를 풀어달라고 정부에 건의했습니다.

박효정 기자가 보도합니다.

ADVERTISEMENT


[기자]

결혼을 기피하는 청년층과 혼자 사는 고령층이 늘면서 1인 가구는 2017년부터 연평균 37만 가구 이상 생겨나고 있습니다.

지난해 말 기준 1인 가구는 750만 2,000여호로 전체 가구의 34.5%를 차지했는데, 이 추세대로면 2030년엔 비중이 40%를 넘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반대로 이들을 위한 소형주택 공급은 줄어들고 있습니다.

올해 1월부터 9월까지 전용면적 60㎡ 이하 주택의 인허가 실적은 4만 6,818호로 전년 대비 40% 줄었습니다.

1인 가구가 주로 거주하는 주택 유형별로 보면 오피스텔 인허가는 전년 대비 67%, 도시형생활주택은 73% 급감했습니다.

주택 경기가 침체된 가운데 공사비와 금리가 오르며 소형주택을 주로 짓는 중소 시행사들이 자금난에 빠지거나 도산했기 때문입니다.

ADVERTISEMENT


1인 가구 주거난마저 우려되는 가운데, 건설업계가 비아파트 규제를 풀어달라고 요구했습니다.

대한주택건설협회 등은 소형주택과 오피스텔을 주택 수 산정에서 빼고, 임대주택사업자는 종부세 합산을 제외해 달라고 정부에 건의했습니다.

<박과영 / 한국부동산개발협회 연구위원> "(소형주택) 매입 수요를 확보해야만 대주단이라든지 대출이 가능하고 대출이 가능해야 공급이 가능하기 때문에 이 과정을 통틀어 선순환의 공급 사이클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봅니다."

국토교통부 장관 박상우 후보자도 비아파트 중심의 정책을 펴겠다고 밝힌 가운데, 소형주택 공급이 숨통을 틀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TV 박효정입니다. (bako@yna.co.kr)

#소형주택 #오피스텔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