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력운영 지침에도 방도 없는 의대…"가이드라인 기다려야"
[뉴스리뷰]
[앵커]
교육부가 대학들에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탄력적인 학사운영을 강조하면서, 추가학기 개설 등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 바 있는데요.
대학들은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반응입니다.
다음달 나올 교육부의 가이드라인을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안채린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주 교육부는 의대 교육 정상화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학생들이 언제든 복귀해 정상적으로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학사 운영을 탄력적으로 해달라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심민철 /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 "수업 기간이 부족하면 추가적으로 학기를 더 개설할 수 있는지 이런 부분들하고 대학이 수용 가능한 부분이 어디까지인지를…즉, 학기제를 신축적 운용하는 부분이 있을 거고요."
구체적인 방식은 다음달 '비상 학사운영 가이드라인'을 통해 안내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그러면서 가이드라인 안내 전이라도 필요한 조치를 취해달라고 각 대학에 공문을 보내 조속한 대처를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공문을 받아 든 학교들은 난감해하고 있습니다.
예컨대 이른바 '3학기제' 같은 추가학기의 경우 실제 도입하려면 장학금 지급 시기, 성적 입력 시기 등 조정해야 할 내용이 많아 당장은 논의하기 쉽지 않다는 겁니다.
결국 교육부가 다음달 발표하기로 한 가이드라인을 기다릴 수밖에 없다는 푸념이 나오고 있습니다.
<의대 운영대학 관계자 (음성변조)> "교육부에서 7월 초에 (가이드라인이) 오는 걸 봐서 저희도 구체적으로 뭘 논의할 수 있을 것 같고요."
한편 의대가 있는 대학의 총장들이 모여 만든 협의체 측은 회의를 열고 탄력적 학사 운영을 위해 지원이 필요한 부분을 취합해 교육부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안채린입니다. (chaerin163@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리뷰]
ADVERTISEMENT
[앵커]
교육부가 대학들에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한 탄력적인 학사운영을 강조하면서, 추가학기 개설 등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한 바 있는데요.
대학들은 현실적으로 적용하기가 쉽지 않다는 반응입니다.
ADVERTISEMENT
다음달 나올 교육부의 가이드라인을 기다리는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가 나옵니다.
안채린 기자입니다.
[기자]
지난주 교육부는 의대 교육 정상화 대책을 발표했습니다.
학생들이 언제든 복귀해 정상적으로 수업을 들을 수 있도록 학사 운영을 탄력적으로 해달라는 내용이 담겼습니다.
<심민철 / 교육부 인재정책기획관> "수업 기간이 부족하면 추가적으로 학기를 더 개설할 수 있는지 이런 부분들하고 대학이 수용 가능한 부분이 어디까지인지를…즉, 학기제를 신축적 운용하는 부분이 있을 거고요."
구체적인 방식은 다음달 '비상 학사운영 가이드라인'을 통해 안내하겠다고 덧붙였습니다.
ADVERTISEMENT
그러면서 가이드라인 안내 전이라도 필요한 조치를 취해달라고 각 대학에 공문을 보내 조속한 대처를 요청했습니다.
하지만 공문을 받아 든 학교들은 난감해하고 있습니다.
예컨대 이른바 '3학기제' 같은 추가학기의 경우 실제 도입하려면 장학금 지급 시기, 성적 입력 시기 등 조정해야 할 내용이 많아 당장은 논의하기 쉽지 않다는 겁니다.
결국 교육부가 다음달 발표하기로 한 가이드라인을 기다릴 수밖에 없다는 푸념이 나오고 있습니다.
<의대 운영대학 관계자 (음성변조)> "교육부에서 7월 초에 (가이드라인이) 오는 걸 봐서 저희도 구체적으로 뭘 논의할 수 있을 것 같고요."
한편 의대가 있는 대학의 총장들이 모여 만든 협의체 측은 회의를 열고 탄력적 학사 운영을 위해 지원이 필요한 부분을 취합해 교육부에 건의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연합뉴스TV 안채린입니다. (chaerin163@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