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한복판 막았던 옛 경인고속도로 옹벽 철거…원도심 활성화
[생생 네트워크]
[앵커]
50년 넘도록 인천 도심 한가운데를 가로질러 온 옛 경인고속도로 옹벽이 사라집니다.
인천시는 옹벽 철거를 시작으로 곳곳에 공원과 녹지를 만들어 원도심을 활성화할 방침입니다.
황정환 기잡니다.
[기자]
1968년 개통한 우리나라 최초의 고속도로인 경인고속도로.
당시 물류 중심축으로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하지만 인천 한복판에 고속도로가 지어져 도심은 동서로 나뉘었습니다.
인근 주민들은 평생 옆 동네를 돌아가야 하는 불편함을 겪었고 차량 소음과 비산먼지에도 노출됐습니다.
<공미경 / 인천 서구> "눈앞에 집을 두고 옹벽 때문에 빙 돌아가는 불편함을 30년 동안 살면서 느꼈습니다.
50년이 지난 이제야 주민들의 숙원 사업인 옛 경인고속도로 옹벽이 철거되는 작업이 시작됐습니다.
<이근순 / 인천 미추홀구> "왔다 갔다 할 수 있고 소음도 없어지고 주민들이 아주 쾌적한 공간으로 살 수 있고 나무 심고 하면 숲이 생기고 더 좋죠."
인천시는 옛 경인고속도로 인천 기점~서인천 나들목 10.45㎞ 구간에 '인천대로 일반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도시 재생을 위해 고속도로에서 일반도로로 전환된 해당 구간에는 옹벽과 방음벽이 철거되고 공원과 녹지, 여가 공간 등이 들어섭니다.
1단계 사업인 인천 기점~주안산단고가교 4.8km 구간은 2027년, 나머지 5.65km 구간은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유정복 / 인천시장> "신도시와 원도심의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 원도심이 앓고 있던 교통 문제, 주거 문제, 환경 문제 획기적인 개선이 이뤄질 것입니다."
반세기 만에 사라지게 되는 옛 경인고속도로 옹벽.
본격 추진되고 있는 인천대로 일반화 사업이 앞으로 원도심에 어떤 활력을 불어넣을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 황정환입니다.
#경인고속도로 #옹벽 #원도심 #균형발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생생 네트워크]
ADVERTISEMENT
[앵커]
50년 넘도록 인천 도심 한가운데를 가로질러 온 옛 경인고속도로 옹벽이 사라집니다.
인천시는 옹벽 철거를 시작으로 곳곳에 공원과 녹지를 만들어 원도심을 활성화할 방침입니다.
황정환 기잡니다.
[기자]
1968년 개통한 우리나라 최초의 고속도로인 경인고속도로.
ADVERTISEMENT
당시 물류 중심축으로 대한민국 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했습니다.
하지만 인천 한복판에 고속도로가 지어져 도심은 동서로 나뉘었습니다.
인근 주민들은 평생 옆 동네를 돌아가야 하는 불편함을 겪었고 차량 소음과 비산먼지에도 노출됐습니다.
<공미경 / 인천 서구> "눈앞에 집을 두고 옹벽 때문에 빙 돌아가는 불편함을 30년 동안 살면서 느꼈습니다.
50년이 지난 이제야 주민들의 숙원 사업인 옛 경인고속도로 옹벽이 철거되는 작업이 시작됐습니다.
<이근순 / 인천 미추홀구> "왔다 갔다 할 수 있고 소음도 없어지고 주민들이 아주 쾌적한 공간으로 살 수 있고 나무 심고 하면 숲이 생기고 더 좋죠."
인천시는 옛 경인고속도로 인천 기점~서인천 나들목 10.45㎞ 구간에 '인천대로 일반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도시 재생을 위해 고속도로에서 일반도로로 전환된 해당 구간에는 옹벽과 방음벽이 철거되고 공원과 녹지, 여가 공간 등이 들어섭니다.
1단계 사업인 인천 기점~주안산단고가교 4.8km 구간은 2027년, 나머지 5.65km 구간은 2030년 준공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유정복 / 인천시장> "신도시와 원도심의 불균형 문제를 해소하고 원도심이 앓고 있던 교통 문제, 주거 문제, 환경 문제 획기적인 개선이 이뤄질 것입니다."
반세기 만에 사라지게 되는 옛 경인고속도로 옹벽.
본격 추진되고 있는 인천대로 일반화 사업이 앞으로 원도심에 어떤 활력을 불어넣을지 주목됩니다.
연합뉴스 황정환입니다.
#경인고속도로 #옹벽 #원도심 #균형발전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