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정년연장에 청년층 한숨…연금 못받고 일자리 경쟁
[앵커]
중국이 내년부터 15년 동안 정년연장 정책을 시행합니다.
남성의 경우 60세에서 63세로 높아지는데, 청년층들은 연금 고갈에 노년층과 일자리 경쟁을 벌이게 됐다며 볼멘 소리가 많습니다.
베이징에서 배삼진 특파원입니다.
[기자]
아파트 입구에서 환하게 웃는 배달원.
경비원으로 일하는 대학 동창을 만난 건데, 이제 마음 편히 출입이 가능하다며 좋아합니다.
컴퓨터공학과 토목공학을 각각 전공한 두 사람은 대학 4년간 기숙사 룸메이트였습니다.
<현장음> "이제 이 동네는 내 마음대로 들어갈 수 있지? (당연하지) 나 들어간다. 아무도 못 들어오게 잘 지켜."
두 사람은 중국 대졸 취업난을 꼬집는 대표 사례가 됐습니다.
지난 7월 기준 16세에서 24세 실업률은 17.1%, 매년 이맘때 1,200만명의 대학 졸업자가 쏟아지면서 취업난은 더 극심합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이 정년 연장 카드를 꺼냈습니다.
내년부터 15년 동안 남성은 60세에서 63세로, 사무직 여성은 55세에서 58세로 각각 연장에 나섭니다.
중국은 2035년 60세 이상 노인인구가 4억명을 넘어서면서 전체 인구의 30% 이상을 차지하게 됩니다.
정년 연장을 통해 연금 부족 해결과 노동력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겁니다.
<왕샤오핑 / 중국 인적자원사회보장부장> "평균 수명은 중화인민공화국 초기의 40세에서 현재 78.6세로 증가했습니다.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연령 역시 늦춰지고 있습니다."
웨이보와 바이두 등 중국 SNS에서는 실시간 검색순위 상위를 차지하며 관심이 높습니다.
고령자들의 소득 보장에 긍정적이라는 반응도 있지만, 결국 연금 고갈을 근로자들에게 떠넘기려는 수단이라는 볼멘소리가 많습니다.
<중국 네티즌> "많은 사람들이 은퇴 전에 납부한 돈을 받을 수 없으니까 정년 전에 은퇴할 수가 없고, 잘 먹고 마실 수도 없어요. 여행하기도 어려워져요."
일자리 부족 속에 젊은층과 노년층간 취업 경쟁이 가속화 할 것이란 우려도 나옵니다.
최악의 실업률을 겪고 있는 청년층 입장에서는 고령층의 정년 연장을 달갑게만 볼 수 없는 상황이어서 이들을 어떻게 달랠지도 사회적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baesj@yna.co.kr)
#中정년연장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앵커]
ADVERTISEMENT
중국이 내년부터 15년 동안 정년연장 정책을 시행합니다.
남성의 경우 60세에서 63세로 높아지는데, 청년층들은 연금 고갈에 노년층과 일자리 경쟁을 벌이게 됐다며 볼멘 소리가 많습니다.
베이징에서 배삼진 특파원입니다.
ADVERTISEMENT
[기자]
아파트 입구에서 환하게 웃는 배달원.
경비원으로 일하는 대학 동창을 만난 건데, 이제 마음 편히 출입이 가능하다며 좋아합니다.
컴퓨터공학과 토목공학을 각각 전공한 두 사람은 대학 4년간 기숙사 룸메이트였습니다.
<현장음> "이제 이 동네는 내 마음대로 들어갈 수 있지? (당연하지) 나 들어간다. 아무도 못 들어오게 잘 지켜."
두 사람은 중국 대졸 취업난을 꼬집는 대표 사례가 됐습니다.
지난 7월 기준 16세에서 24세 실업률은 17.1%, 매년 이맘때 1,200만명의 대학 졸업자가 쏟아지면서 취업난은 더 극심합니다.
ADVERTISEMENT
이런 가운데 중국이 정년 연장 카드를 꺼냈습니다.
내년부터 15년 동안 남성은 60세에서 63세로, 사무직 여성은 55세에서 58세로 각각 연장에 나섭니다.
중국은 2035년 60세 이상 노인인구가 4억명을 넘어서면서 전체 인구의 30% 이상을 차지하게 됩니다.
정년 연장을 통해 연금 부족 해결과 노동력 확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겁니다.
<왕샤오핑 / 중국 인적자원사회보장부장> "평균 수명은 중화인민공화국 초기의 40세에서 현재 78.6세로 증가했습니다. 노동시장에 진입하는 연령 역시 늦춰지고 있습니다."
웨이보와 바이두 등 중국 SNS에서는 실시간 검색순위 상위를 차지하며 관심이 높습니다.
고령자들의 소득 보장에 긍정적이라는 반응도 있지만, 결국 연금 고갈을 근로자들에게 떠넘기려는 수단이라는 볼멘소리가 많습니다.
<중국 네티즌> "많은 사람들이 은퇴 전에 납부한 돈을 받을 수 없으니까 정년 전에 은퇴할 수가 없고, 잘 먹고 마실 수도 없어요. 여행하기도 어려워져요."
일자리 부족 속에 젊은층과 노년층간 취업 경쟁이 가속화 할 것이란 우려도 나옵니다.
최악의 실업률을 겪고 있는 청년층 입장에서는 고령층의 정년 연장을 달갑게만 볼 수 없는 상황이어서 이들을 어떻게 달랠지도 사회적 과제가 될 전망입니다.
베이징에서 연합뉴스TV 배삼진입니다. baesj@yna.co.kr)
#中정년연장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 jebo23
- 라인 앱에서 'jebo23' 친구 추가
- jebo23@yna.co.kr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