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경제쏙쏙] '명품백'의 굴욕…슬그머니 가격 인하

뉴스경제

[경제쏙쏙] '명품백'의 굴욕…슬그머니 가격 인하

2024-09-25 16:21:58

[경제쏙쏙] '명품백'의 굴욕…슬그머니 가격 인하

[앵커]

경제쏙쏙 시간입니다.

오늘도 경제부 강은나래 기자와 함께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첫 번째 주제, '명품백의 굴욕'입니다.

고가 전략을 고수해온 명품 브랜드들이 요즘 들어 슬그머니 가격을 내리고 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해외 명품 브랜드들이 잇따라 국내 판매가격을 내리고 있습니다.

명품 브랜드들이 이렇게 가격을 낮춘 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에 처음인데요.

영국 명품 브랜드 버버리도 보시는 것처럼 대표 제품 가격을 16% 내리는 등 자사 제품들의 국내 판매 가격을 20% 안팎 인하했습니다.

프랑스 명품 브랜드 생로랑도 가방 등 제품 가격을 3~15% 정도 내렸습니다.

[앵커]

코로나19로 소비자들이 다들 힘들 때도 값을 안 내리고 '배짱 영업'해온 명품 브랜드들이 지금 와서 왜 이렇게 값을 내린 거죠?

[기자]

고금리·고환율·고유가 등 이른바 '3고' 현상으로 글로벌 경기 불황이 너무 길어진 탓입니다.

소비자들이 고가 제품을 외면하기 시작하면서 명품 브랜드 회사들 영업에 비상이 걸린 겁니다.

명품 브랜드들의 상반기 국내 백화점 매출 자료를 보시면, 구찌가 전년 같은 기간 보다 무려 24%나 매출이 하락했습니다.

버버리는 17%, 보테가베네타와 셀린, 샤넬도 1~2% 매출이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프라다와 디올, 루이비통은 매출이 1~3% 늘어나는 데 그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이 중에서 명품계의 명품으로 불리는 에르메스의 매출만 눈에 띄게 늘어난 것을 확인하실 수 있는데요.

전년 같은 기간 대비 20% 올랐습니다.

이를 두고 업계에서는 불황이 길어지면서 소비 양극화의 폭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는 해석을 내놓았습니다.

실제로 최근 다수의 소비자들이 값비싼 신상품 명품 대신 중고 명품으로 눈을 돌리는 사례들이 늘고 있습니다.

온라인 중고 명품 거래 전문 플랫폼의 신용·체크카드 결제액이 2년 전보다 2배 이상 늘었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또 팬데믹 때 웃돈이 가장 많이 붙었던 롤렉스 같은 고가 시계들 중고가도 떨어지고 있는 추세라고 합니다.

[앵커]

이와 관련해서 요즘 뜨고 있는 게 '듀프 소비'라고요?

저는 처음 들어보는 말인데, 무슨 뜻인가요?

[기자]

'듀프'는 쉽게 말해서 비싼 브랜드 제품의 저렴한 복제품을 말합니다.

'복제품'을 뜻하는 영어 단어 '듀플리케이션'을 줄여서 부르는 말입니다.

다만, 명품의 상표까지 정밀하게 베껴서 파는 불법 모조품, 소위 '짝퉁'과는 엄연히 다릅니다.

유명 디자인을 본떠서 만들긴 했지만, 품질도 비슷하고 값은 더 저렴한 대안 제품 개념이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요즘 글로벌 Z세대 사이에서 이런 듀프 소비가 확산하고 있다고 합니다.

한 업체에서 설문 조사해보니 미국의 Z세대의 절반 정도가 일부러 이런 듀프제품을 사본 적이 있다고 답했습니다.

[앵커]

Z세대면 1990년대 중반에서 2010년대 초반에 태어난 세대를 말하잖아요.

앞서 말씀하신 경기 불황도 이유겠지만, 기성세대와 소비 문화 자체가 좀 차별화된다고 볼 수 있을까요?

[기자]

네, 맞습니다.

경제가 둔화하고 주머니가 가벼워지면서 저렴한 대안을 찾는 것도 물론 맞지만, Z세대들은 이 '듀프 문화'를 '똑똑한 소비'의 하나로 인식하는 경향이 강하다는 분석입니다.

실제로 저렴한 복제품을 사고, 이걸 SNS 등에 자랑하는 콘텐츠도 볼 수 있고요.

아까 설명드린 시장조사 업체 조사 결과를 보면 Z세대들은 듀프 소비를 하는 이유에 대해서 '브랜드 제품을 살 여유가 있어도 복제품을 선택한다', '복제품을 찾는 건 재밌는 일이다'라고 답했습니다.

[앵커]

다음 주제 넘어가 보겠습니다.

'1등 돼도 집 못 산다', 이거 딱 봐도 로또 얘기네요.

물가는 계속 오르고, 집값도 오르는데 로또 1등 돼도 서울에서 집 한 채 사기 어렵다는 불만이 여기저기서 나오고 있죠.

[기자]

네, 특히, 지난 7월 로또복권 추첨 결과 무려 63명이 1등에 동시 당첨되면서 조작 논란까지 불거졌습니다.

무더기 당첨으로 1등 당첨금은 4억원이 조금 넘었고, 세금을 떼면 실수령액은 3억1천만원 정도였습니다.

이건 이례적으로 당첨자가 많았던 사례이고, 평균 현황은 어떨지 좀 살펴봤습니다.

복권위 추산에 따르면 한 회당 복권 판매 건수는 약 1억1천건이고, 1등 당첨자 수는 평균 12명이라고 합니다.

1인당 1등 당첨금액은 평균 21억원 수준입니다.

로또 1등 당첨금과 아파트 매매가 비교한 걸 보시면요.

1인당 당첨금이 평균 21억원인데, 이 정도면 평균 매매가 25억 원인 상위 20% 서울 아파트 구매하기가 어려운데 사실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과 같이 당첨자가 무더기로 나와서 1등 수령액이 3억원 정도에 그친다면, 9억 원대인 중위가격 아파트조차 매매할 수 없는 겁니다.

당첨금이 너무 적다는 불만이 쏟아지자 정부가 로또 당첨금을 올리는 방안을 놓고 국민 의견 수렴에 나섰습니다.

기획재정부 복권위원회가 바로 어제(24일)부터 국민권익위원회와 함께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작했는데요.

"로또복권 1등 당첨금 규모에 대한 여러분의 의견을 들려달라"면서 올린 설문 조사에는 '현재 로또복권 당첨구조에 만족하는지', '로또복권 1등의 적정 당첨 금액과 당첨자 수는 어느 정도라고 생각하는지' 등을 물어보고 있습니다.

[앵커]

국민 다수가 로또 당첨금 올리는 데 동의한다고 해도, 방법이 중요할 텐데요.

[기자]

네, 로또 당첨 금액을 올리는 방법, 2가지가 거론됩니다.

먼저, 당첨 확률을 낮추는 겁니다.

현재 판매 중인 로또는 1부터 45까지 45개의 숫자 가운데 번호 6개를 고르는 방식이죠.

1등은 6개의 숫자를 모두 맞추는 경우로, 당첨 확률은 814만5,060분의 1입니다.

예를 들어, 이 숫자를 1부터 70까지로 늘리면 1등 당첨 확률은 1억3,111만5,985만분의 1로 약 16배 정도 낮아지게 됩니다.

당첨되면 '잭 팟'으로 불리는 미국 복권 파워볼은 당첨 확률이 2억9,220만분의 1입니다.

다른 방안으로는 게임비를 올리자는 의견도 있습니다.

현재 1건당 1천원인데, 이걸 2천원으로 올리자는 겁니다.

로또 도입 초기 한 게임당 가격이 2천원이었고, 당시 1등 평균 당첨액이 56억 원이었습니다.

그런데 이게 비싸다는 의견이 많아서 2004년에 1천원으로 내린 뒤에 20년째 그대로입니다.

국책 연구기관인 한국조세재정연구원도 물가가 오르고, 소비자들 기대 수익이 늘어난 만큼 "로또 판매가를 1게임당 200원가량 올리고, 당첨금도 상향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앵커]

복권 판매수익금이 소외계층 지원에 쓰인다는 점에서 당첨금 인상 논의와 함께 복권기금의 순기능에 대해서도 한번 생각해보면 좋겠네요.

다음 소식, K과자가 세계인의 입맛을 홀렸다고요?

[기자]

네, 해외 각국에서 한국 과자를 찾는 소비자가 늘면서 과자 수출액이 올해 역대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올해 들어서 지난달까지 우리나라 과자 수출액이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 넘게 늘었는데요.

최근 7년간 얼마나 수출됐는지 통계 보시겠습니다.

연간 과자류 수출액은 지난 2018년 3억7,500만달러에서 2021년 4억6,600만달러로 뛰었고, 2022년부터는 연 6억만달러 이상을 기록 중입니다.

올해 이미 5억3천만달러 가까이 수출이 이뤄진 상태라 올해 과자 수출액이 처음으로 7억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업계에서는 과자 수출액 1조원 달성도 가능하지 않겠느냐 하는 기대가 나오고 있습니다.

롯데웰푸드의 빼빼로 지난해 수출액이 540억원으로 2020년보다 80%나 증가했습니다.

오리온의 꼬북칩은 지난 3월 기준으로 글로벌 누적 매출이 4,800억원을 돌파했습니다.

해태제과의 허니버터칩은 지난 5월 한국 외에 일본에서도 사과파이앗과 애플버터맛 등 신규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앵커]

한류 바람을 타고 과자 수출도 늘어났다고 볼 수 있을까요?

[기자]

네, 한류스타를 광고 모델로 내세운 과자 업체들도 다수라 한류 영향도 큰 것으로 분석되는데요.

업계에서는 한국 과자가 해외 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는 이유에 대해 무엇보다 한국 과자 만의 차별적인 식감, 맛 같은 제품력 덕분이라고 분석합니다.

과자업체들이 현지 입맛에 맞는 전용 상품을 부지런히 내놓고 있는 덕분이란 겁니다.

또 내수 시장이 위축되면서 국내 시장만으로는 매출 확장에 한계가 있다는 업계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마지막으로 '반려동물 보유세' 이야기네요.

개나 고양이 같은 반려동물을 키우는 보호자들에게 세금을 따로 부담하게 해야 한다 이런 얘기죠?

[기자]

네, 최근에 정부가 '반려동물 보유세' 정책 추진을 검토하고 있다는 일부 보도가 나왔는데요.

반려동물 키우는 가구는 우리나라 전체 가구의 15%인데, 반려동물 배변처리부터 유기동물 보호 등에 투입되는 비용을 모두 국민 세금으로 충당하는 상황입니다.

이 때문에 관련 정책 비용을 조달하기 위해서 정부에서 반려동물 보유세를 검토한다, 이런 이야기인데요.

정부는 "도입 검토 중인 사실 없다"고 신중한 입장을 밝혔지만, 온라인 등에서 갑론을박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앵커]

실제로 여론은 어떻습니까?

[기자]

반려동물 보유세 신설하는 데 동의하는지 설문조사를 한 자료가 있는데요.

응답자의 55%가 동의한다고 답했습니다.

반려동물을 키우는 경우 53%가 반려동물 보유세에 찬성했고, 반려동물을 안 키우는 경우에는 절반 이상인 57%가 찬성했습니다.

찬반 이유를 살펴보면, 각자 일리가 있습니다.

찬성하는 쪽에서는 관련 재정 부담을 덜기 위해서, 또 무책임한 반려동물 입양을 방지하기 위해서 반려동물 보유세를 물려야 한다고 말합니다.

또 개물림 사고나 소음 공해로 인한 사회적 갈등을 국민 다수가 감수하는 상황도 고려해야 한다는 주장입니다.

반면, 반대하는 쪽에서는 '보유세' 자체가 반려동물을 물건 취급하는 처사라는 입장이고, 세금 부담 때문에 유기 동물이 양산될 수 있다, 이중과세다, 또 반려동물 산업이 축소되는 부작용이 생길 수 있다고 우려합니다.

앞서 말씀드린 대로 정부가 아직 도입을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밝혔지만, 윤석열 대통령의 대선 공약이었던 데다, 또 외국의 여러 사례들을 고려해보면 우리나라에서도 중장기적으로 고민해볼 논의 사항이긴 한 것 같습니다.

[앵커]

네, 반려동물 키우는 인구가 늘어나는 만큼 사회적 합의가 중요한 사안인 것 같네요.

지금까지 경제부 강은나래 기자와 함께했습니다.

강은나래 기자 (rae@yna.co.kr)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이 시각 뉴스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