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디오 플레이어
자막방송 VOD 제작지원 : 방송통신위원회 및 시청자미디어재단
흔적을 쫓는다…'체계적 과학수사' 5분 만에 신원 확인

[앵커]

ADVERTISEMENT


10년 전, 세월호 참사와 관련해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신원 확인이 늦어지면서 수사가 혼선을 빚은 일이 있었습니다.

이를 계기로 경찰은 과학수사 역량을 키우기 시작했는데요.

10년간 어떤 변화가 일어났는지, 내일(4일) 과학수사의 날을 맞아 나경렬 기자가 살펴봤습니다.

ADVERTISEMENT


[기자]

유리잔에 빛을 비추고, 붓으로 분말을 바른 뒤 지문을 채취합니다.

<현장음> "엄청 잘 나왔네, 지문이."

지문이 보이지 않을 땐 형광 분말을 사용합니다.

어두운 방 안에서도 과학수사관들의 증거 수집은 계속됩니다.

<최평엽 / 서울경찰청 과학수사대> "증거로 활용할 수 있도록 세심한 주의를, 노력을 하고 있습니다."

방금 채취한 제 지문입니다.

ADVERTISEMENT


신원 확인이 얼마나 빠르고 정확하게 되는지, 직접 확인해보겠습니다.

5분도 걸리지 않아 '나경렬'이라는 이름과 정보가 나옵니다.

이런 방식으로 이태원 참사 희생자들은 20여시간 만에, 아리셀 공장 화재 희생자들의 신원은 이틀도 되지 않아 확인됐습니다.

그 배경에는 '광역 과학수사 체계'가 있습니다.

10년 전, 유병언 전 세모그룹 회장의 신원이 40여일 만에 확인되며 '늦장 수사' 비판이 불거진 것이, 이 체계를 만드는 계기가 됐습니다.

당시만 해도 각 경찰서에 근무하는 과학수사관은 1명뿐이었습니다.

인력이 부족하고 수사관에 따라 그 능력도 천차만별이었습니다.

문제 해결을 위해 이들을 시도경찰청에 집중 배치했고, 역량 강화를 위한 노력이 이어졌습니다.

'광역 체계'가 자리 잡은 지 10년, 정확한 증거 수집은 물론 새로운 과학수사 기법 개발도 꾸준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박우현 / 경찰청 과학수사심의관> "광역 과학수사 체계가 성공적으로 안착했습니다. 현장 증거수집 역량과 분석 기법이 고도화됐고 인력 운영의 효율성도…."

정확한 수사의 첫걸음이라 할 수 있는 과학수사.

진화하는 범죄와 기술에 대응하기 위해 과학수사는 지금도 체계화, 고도화되고 있습니다.

연합뉴스TV 나경렬입니다. (intense@yna.co.kr)

[영상취재기자 : 문원철·윤제환]

#과학수사 #신원확인 #지문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당신이 담은 순간이 뉴스입니다!

ⓒ연합뉴스TV,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