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특보]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정부, 1월 4일까지 국가애도기간
<출연 : 정윤식 가톨릭관동대 항공대학장>
전남 무안공항에서 여객기 활주로 이탈 사고로 179명이 사망하는 대참사가 발생했습니다.
이번 사고의 원인과 관련해 다양한 해석이 제기되고 있는데요.
한편, 정부는 여객기 사고 참사와 관련해 다음 달 4일까지 국가애도기간으로 정하고 무안군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지정했습니다. 정윤식 가톨릭관동대 항공대학장과 자세한 내용 짚어보겠습니다.
어서오세요.
[질문1]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사고는 착륙 허가 후 불과 9분 만에 벌어진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사고 경위를 다시 한번 짚어주시죠.
[질문2] '버드 스트라이크'가 주요 사고 원인으로 지목되는 가운데 사고 직전 관제탑이 조류 충돌 주의를 준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그리고 2분 만에 기장은 조난 신호인 '메이데이'를 선언했습니다. 사고와의 연관성 어떻게 봐야 합니까?
[질문3] 착륙장치인 랜딩기어가 왜 내려오지 않았냐는 것이 가장 큰 의문인데요. 엔진에 이상이 생기더라도 중력에 의해 바퀴를 떨어지게 하는 수동 운항도 가능하다는 얘기도 있던데요. 왜 최후의 수단마저 쓰지 못했을까요?
[질문4] 국토부는 "통상적으로 엔진 이상이 랜딩기어 작동과 연관되는 경우는 드물다"고 했습니다. 랜딩기어의 독립적 원인일 가능성도 있다고 봐야 할까요?
[질문5] 착륙을 시도한 항공기는 활주로 끝단에 이를 때까지 속도를 줄이지 못했습니다. 조류 충돌이 일어난 엔진 외 다른 쪽 엔진과 제동장치도 작동하지 않은 걸까요?
[질문6] 동체착륙은 조종사가 고를 수 있는 마지막 선택지라는 얘기가 있습니다. 사실 극히 드문 경우라고 하는데 동체착륙을 해야 되겠다고 판단해야 될 정도 상황이 급박했다고 봐야할까요?
[질문7] 동체착륙은 엔진과 연료 탱크 등의 부위에서 화재 가능성이 있어 긴급 대응이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실제 매뉴얼은 어떻습니까?
[질문8] 우측 엔진에서 발생한 화염이 번져 기체 내부까지 연기와 유독가스가 들어오는 급박한 상황이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여객기마다 연료를 빼내는 시스템을 갖추고 있는데, 이 기종은 소형 기종이라 이 시스템이 없다고 하더라고요. 그럼 연료 양을 줄이는 다른 조치를 할 방법이 없는 것인지, 아니면 조치를 할 수 없을 정도로 급박한 상황이었을까요?
[질문9] 화재 원인은 동체착륙과 랜딩기어 등 브레이크 장치 미작동으로 속도를 줄이지 못해 발생했다는 오버런으로 의견이 갈리고 있습니다. 어떤 요인이 가장 크게 작용했을까요?
[질문10] 무안공항 활주로는 2,800m이지만, 300m가량 활주로 연장 공사를 진행 중이었습니다. 국토부는 '짧은 활주로'가 사고 원인이라는 지적에 대해선 선을 그었지만, 결과적으로 활주로가 길었다면 사고 충격을 조금은 줄일 수 있었을까요?
[질문11] 국토부는 비행기록장치와 음성 기록장치를 모두 확보했습니다. 사고 경위를 조사하는 데 가장 중요한 단서인데, 짧게는 6개월 길게는 3년까지 걸린다고 합니다. 어떤 부분을 집중적으로 들여다봐야 할까요?
지금까지 정윤식 가톨릭관동대 항공대학장였습니다.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특보]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정부, 1월 4일까지 국가애도기간
뉴스사회
[뉴스특보]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정부, 1월 4일까지 국가애도기간2024-12-29 22:41: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