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특보] 제주항공 참사 진상규명 과제 산적…블랙박스 조사 착수
<출연 : 정윤식 가톨릭관동대 항공운항학과 교수>
무안공항에서 발생한 여객기 참사 하루 만에 제주항공의 같은 기종이 랜딩기어 이상으로 정상 운항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한편 사고 원인을 두고 기체 부품 결함부터 잦은 운항으로 인한 점검 미숙, 무안공항의 구조적 문제까지 다양한 의혹들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정윤식 가톨릭관동대 항공운항학과 교수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질문 1> 전남 무안국제공항에서 발생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가 이틀째를 맞이했습니다. 전문가들은 이번 참사가 '조류 충돌' 같은 하나의 원인만으로는 설명되지 않는다고 보고 있습니다. 랜딩기어와, 플랩, 엔진 역추진까지 주요 브레이크 시스템이 모두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는 건데, 교수님은 어떻게 보고 계십니까?
<질문 2> 국토교통부는 사고기에서 수거한 2개의 블랙박스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그런데 CVR(조종실음성기록장치)은 외형 그대로 수거됐는데, FDR(비행자료기록장치)은 일부 분리가 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FDR 복원은 가능할까요?
<질문 3> 한편 국토부가 오늘 오전 브리핑에서 사고 당시 여객기가 통상적인 착륙 지점인 '터치다운존'보다 앞쪽에 착륙한 것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는데요. 정확한 지점에 대해선 조사가 필요하다는 입장입니다. 착륙지점은 이번 사고 분석에 어떤 의미가 있을까요?
<질문 3-1> 이번 사고에서는 랜딩기어 3개가 모두 작동하지 않았습니다. 비행 중 랜딩기어에 이상이 생기는 일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수동으로 작동을 시도하는 경우도 있다고 하던데요. 이렇게 전혀 작동하지 않는 경우는 어떻게 봐야 할까요.
<질문 4> 엔진에서 화재가 발생한 뒤에 연기와 유독가스가 기체 내부로 유입돼 착륙을 서둘렀을 가능성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5> 제주항공은 41대의 기단 중 대부분인 39대를 '보잉 737-800' 기종으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조종사들에겐 그만큼 익숙한 비행기일 것 같은데요. 출도착 전 정비의 문제가 있었을 수도 있을까요?
<질문 6> 이런 가운데 전남 무안국제공항 여객기 참사 하루 만에 제주항공의 같은 기종이 또 정상적으로 운항하지 못하는 일이 벌어졌습니다. 오늘 오전 김포공항에서 출발한 제주행 비행기였는데요. 이륙 직후 랜딩기어 이상이 발견됐다면서요?
<질문 7> 항공기 운항을 많이 할수록 정비할 수 있는 시간이 줄어들지 않겠습니까? 사고 여객기가 사고 직전 48시간 동안 13차례나 운항을 했다는데, 무리한 운항이었다는 지적은 어떻게 보십니까?
<질문 8> 참사의 원인 중 하나로 꼽히는 '조류 충돌'에 대해서도 여쭤보겠습니다. 무안공항에는 평소에도 새 떼가 자주 출몰한다고 하는데요. 공항 주변의 조류를 퇴치하는 인력과 장비가 부족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어떻게 보시나요?
<질문 9> 무안공항에 설치된 콘크리트 구조물이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를 키웠다는 지적도 계속 나오고 있습니다. 이 콘크리트 구조물은 로컬라이저 지지를 위해 만들어진 건데요. 먼저 로컬라이저가 무엇인지부터 설명 부탁드립니다.
<질문 9-1> 사고 기체가 동체 착륙 이후 콘크리트 둔덕에 부딪혔는데요. 국토부에선 이런 시설물이 다른 공항에서도 설치돼 있다고 설명하고 있습니다. 모든 공항에 보편적으로 설치되어 있나요?
<질문 10> 이 사고 여객기가 당초 무안공항 01번 활주로로 접근하다가 상황이 여의치 않자 '고어라운드' 했는데요. 보통 고어라운드를 하면 한 바퀴를 돈 뒤 원래 착륙을 시도했던 01번에 내려야 하는데, 기존 착륙 방향의 반대인 역방향으로 2차 착륙을 시도한 이유가 뭘까요?
<질문 11> 교수님 말씀을 들어보면, 사고 원인을 하나로만 단정하기는 어려워보입니다. 가장 심도있는 조사가 필요한 부분은 무엇이라고 보십니까?
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 카톡/라인 jebo23
(끝)
[뉴스특보] 제주항공 참사 진상규명 과제 산적…블랙박스 조사 착수
뉴스사회
[뉴스특보] 제주항공 참사 진상규명 과제 산적…블랙박스 조사 착수2024-12-30 22:48:25